몽화 - 1940, 세 소녀 이야기
권비영 지음 / 북폴리오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몽화' 는 일제 강점기를 견뎌 내야 했던 소년, 소녀들이
각기 다른 환경에서 일그러진 일상을 통해
존재감없이 살아야 했던 나라잃고 억울한 삶의 이야기이다.

암흑기를 견뎌 온 소년, 소녀들이 할아버지, 할머니가 되어 일본 정부와
강제징용문제,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면서
따스한 손길을 건네고 싶어서 책을 쓰게 되었다는 권비영작가랍니다.

이름 없이 억울하게 죽어간 이도, 아직 생존해 있는 분들도
억울함을 풀어내지 못하고, 시간은 흐르고
그분들은 점점 사라져 가는 것이 안타깝네요.
역사의 광풍 앞에서 자신을 지켜 내기 위해
몸부림쳤던 가녀린 소년, 소녀들에게 머리숙여 묵념을 하고 싶네요.

우리 정부와 일본 정부는 위안부 문제와 강제 징용 문제를
하루 빨리 선의로 처리하여 억울함을 보상받게 해야 될 텐데...


''몽화' 내 마음속 어린 소녀는 아직 울고 있다.
꽃들이 피어나는 이 봄에도...마음이 많이 아프네요.

영실이가 만두 밑에 비밀 상자를 넣어 배달하며
온몸 떨리도록 느끼는 불안심리를 보면서
내 나라를 남의 나라가 지배한다는 것은
죄 아닌 죄를 짓게 되고 자유가 박탈 당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요.
일본사람들의 눈초리와 감시로 편할 날 없는 생활로 힘들었던
그 시대를 생각하니 마음이 아프면서 강한 국력과 자립으로
나라를 잘 지켜야 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답니다.

소년들은 영문도 모르고 잡혀서 강제징용을 당하고,
수많은 채찍과 공포 속에 죽어간 젊은 소년들의 절규와
한을 생각하니 가슴이 미어지고요.
직공으로 일한다고 속여서 위안부로 실려간 소녀들의
서러움과 가슴아픈 사연들을 보니 정말 지독한 일본인들이었네요.

영실 정인 은화 정태 칠복이의 삶이 각기 다르지만,
그들의 끈끈한 정이 느껴지는 대목에서는 목이 메이고요.

일제 강점기에 아무힘도 없는 10대들의
마음을 짓발고, 가슴깊이 상처를 남긴 일본은
용서를 빌거나 최소한 인간적인 반성을 국가적 차원에서
해야 하는데...정말 인정 없는 나라임을 만국에 알리고 있답니다.

'몽화'를 읽으면서 우리 아이들이 아픈 전쟁의 역사와
다른 나라에 뺏앗긴 일제 강점기의 아픈 과거를 잊지 말고,
좋은 나라 튼튼한 나라 바로 세우기 하자고 다짐해봅니다.

일제 강점기에 고통 받은  할머님 할아버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건강하시고 힘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