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일 아티스트처럼 - 나쁜 질문 발칙한 상상력
애덤 J. 커츠 지음, 정지현 옮김 / 토네이도 / 2017년 4월
평점 :
절판


'생각의 프레임을 깨는 순간 우리는 모두 아티스트가 된다’는 책 소개에 흥미를 느꼈다. 익숙한 것을 낯설게 하는 아티스트들의 눈은 정말 멋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책이 도착했다. 노란색 표지며 ‘나쁜 질문 발칙한 상상력’, ‘연필하나만 있으면 당신도 최고의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는 문구들이 나를 잔뜩 기대하게 만든다.

첫 장 저자가 적은 브랑쉬 메이비즈 지워츠에 대한 감사문이 재미있다. 다른 책 서문에 쓰인 긴긴 감사의 글보다 간결하게 무엇을 감사하는지 정확히 얘기해주는 메모 같은 감사문이다.(그저 내 스타일인가? 하하) 또 책 소개를 마치고 인터넷 대화상자에 정보를 입력하듯 이름과 날짜를 적어보라는 그림도 책 소개를 일단락 하는 느낌을 확 살려주는 것 같다.

한 장, 두 장 넘겨가며 우선 글을 다 읽어보기로 한다.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왔을 때 어떻게 할 것인가?처럼 일상적인 일을 손 그림과 글로 보여주며 질문을 던지거나 행동을 요구하고 있다. 전부 그런 것은 아니지만 신기하게도 그 일상이 새롭게 느껴진다.
하나씩 채워보려 했을 때 나에게 가장 어려운 것은 노래 목록 적기이다. 노래 제목을 전혀 기억하지 않는 나로서는 생일파티에 어울리는 노래? 평생소장하고 싶은 노래? 진정한 사랑에 어울리는 노래? 음...

‘지금 몇 시인가?’, ‘다 왔어?’ 등은 어떻게 채워야할지? 책을 볼 때마다 그리거나 체크를 하면 되는 건가? 그럼 옆에 날짜를 적어야겠군. 뭐 이런 생각을 하고 있다. 글쎄 나는 이 책을 일기장 정도로 쓰려는 것 같다. 쉼 일기라고 이름 붙일까?

페이지를 다 넘기고 보니 쉽게 읽고 쉽게 쓸 수 있는 페이지도, 한참을 생각하게 하는 페이지도 있다. 솔직히 책 소개 글에서 얘기한 창의력과 상상력은 잘 모르겠지만 혼자 커피를 마시는 시간에 스마트폰 대신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의 이직을 바랍니다 - 먹고살 수 있는 나만의 필드를 찾아서
앨리스 전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불안한 시대에 멋지게 살아남는 법이라는 이야기로 책을 시작한다. 자신이 이길 수 있는 배틀필드를 찾고 어디서든 먹고 살 수 있는 밥그릇 스킬을 연마하라는 당부, 그리고 자신이 그 길을 찾고 연마하기 위해 떠났던 탐험의 기록을 들려준다.

저자는 대기업에 취직했지만 외국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만으로 모든 것을 포기하고 싱가포르로 떠난다. 그리고 싱가포르로 떠나면서 스스로 인생의 주도권을 갖는다면 전혀다른 인생이 펼쳐진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점수에 맞춰 대학에 가고, 여러 회사에 지원해서 나를 선택한 회사에 다니고, 사원,대리,과장,정말 운이 좋다면 임원이 되는 인생. 어쩌면 지금 우리의 인생과 다른 인생.

저자의 이야기 중 고개를 끄덕였던, 또 읽기를 멈추고 생각에 잠기던 이야기를 적어본다.

변해야 한다고 느낄때 중 기억에 남는 문구.
몇가지 더 있었는데 이 두가지에 공감 100%이다.
- 내 삶이 너무 시시하다는 생각이 들 때
- 이대로 살면 너무 평범해질 것 같다는 두려움이 엄습할 때

커넥팅 닷
저자와 같이 완전히 다른 직군의 경험은 아니지만 나 스스로도 지금 나의 커리어를 만들어 온 것은 여러가지 경험이 연결된 결과라는 점은 항상 느끼고 있는 점이다.

링크드인의 CEO 제프와이너가 말하는 일하면서 좋았던 사람의 공통점
- 큰 꿈을 가진 사람
- 할 건 하는 사람
- 즐길 줄 아는 사람
정말 딱이라는 생각이 드는 나는 나이먹은 건가?

저자의 링크드인 생활 중 매니저의 피드백이 인상적이다. 강점을 더 키워야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이야기 말이다. 사실 사람들은 자신의 장점을 키우는 것보다 약점을 보완하는데 치중한다. 그래서 점점 더 비슷비슷하고 특색없는 무리가 되어가는 것 같다. 강남 미인처럼 말이다.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 크게 문제 될 것은 없겠지만 너무 심심한 세상이 되지 않을까?

'인문학 소양을 갖춘 인재'
우리나라에서도 몇년 전부터 유행하고 있는 '인문학 소양을 갖춘 인재'가 싱가포르에서도 트렌드 인 것 같다. 저자는 이런 사람들을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고민을 깊이 했고 스스로 잠정적인 답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고 이야기 한다. 자신의 삶에 질문을 던질 수 있는 사람. 나는 그런 사람인가?

정리하자면 이 책은, 싱가포르 취업에 대한 저자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경험담을 들려주고 마지막으로 실전적인 방법을 알려준다.

솔직히 나는 이 책을 읽고 가슴이 뛰었다기보다는 내가 내 인생에 질문을 던지고 있는지 궁금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어 한 마디 따라 쓰기 노트
박상용 지음 / 소라주 / 2017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에는 150개의 중국어 관용어가 소개되어 있다. 저자는 중국인들도 잘 모르고 쓰는 관용어를 정리해보자는 마음에 중국 관용어 정리를 시작했다고 한다. 책은 관용어를 읽는 방법과 유래를 소개한 뒤 중국어 따라쓰기, 큐알 코드로 중국인 발음 듣기 등 관용어를 쉽게 배울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쉽지않겠지만 중국어 관용어를 중국인과의 대화에서 쓰는, 그들이 깜짝 놀라는 상상을 해본다.

관용어의 역사적, 문화적 유래는 알면 알 수록 재미있다. 저자가 소개한 유래 중 몇가지를 적어 본다.

오징어 볶음(차오 요우 위)
차오 요우 위는 오징어 볶음정도로 해석되는 단어인데 '나 오징어 볶음되었어'하면 '나 해고되었어'라는 의미라고 한다. 이 표현은 중국 기차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불을 짊어진 모습이 오징어와 닮았다는 것과 노동자가 해고되면 자기 짐을 싸서 가야한다는 것에서 의미를 갖게되었다고 한다.

열쇠아이(야오 스 하이)
열쇠아이는 맞벌이 부부의 아이라고 한다. 집에 아무도 없으니 혼자 열쇠를 들고 다니는 아이.
중국사람들은 그 모양새에 의미를 부여한다 한자가 만들어질 때 처럼.

시원한 말을 하다(수오 펑 량 후아)
의미는 비아냥거리는 말이라고 한다. 별로 감동이나 재미가 없을 때도 쓸 수 있다고 한다. 썰렁하다는 의미가 중국에서는 비아냥 거린다는 의미라니 신기하다.

눈의 못(앤 중 딩)
싫거나 눈에 거슬리는 사람을 표현하는 말로 우리나라 표현으로는 눈의 가시 정도가 된다. 그런데 못이다. 중국사람의 약간의 과장법이 느껴지는 표현이랄까.

쭉 훑어봤는데도 기억에 남는 표현이 많다.
약간 아쉬운 점은 관용어를 사용하는 문장 예시가 없다는 것이지만 중국어로 발음을 먼저 익히고(QR 만세), 따라 쓰며 다시한번 익혀볼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고의 석학들은 어떻게 자녀를 교육할까 - 석학 35인이 한국 부모를 위해 쓴 자녀교육서
마셜 골드스미스 외 지음, 허병민 엮음, 박준형 옮김 / 북클라우드 / 2017년 4월
평점 :
절판


딸내미가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면서 왠지모르게 교육에 대한 고민이 생기기 시작했다. 잘하고 있는 것인지... 스스로 부딪혀보라는 주의라서 숙제를 챙긴다든지 선행학습을 시키기 위해 학원을 보낸다든지 이런 일은 하지 않겠다고 마음먹고 있는 내가 말이다.
옆집아이들과의 비교. 정말 이건 하고 싶지 않은데 그러면서도 왜 불안한건지. 나도 어쩔 수 없는 한국 엄마인가 하는 생각들.
조금 답답한 마음에 펼쳤던 책은 나에게 많은 것을 느끼게 했다.
기억에 남는 몇 분의 교육이야기를 쓰겠다.

벤 마이클리스(심리학자)의 교육 ‘언젠가 실패할 아이를 위한 교훈, 똑똑하게 실패하기’
- 느끼기, 다짐하기, 알아차리기, 배우기, 모험하기, 실행하기
사실 요즘 아이들은 우리가 자랄 때 보다 무엇인가를 실패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크다는 생각이 들어서일까 이분이 얘기한 실패했을 때 아이가 실패로부터 배울 수 있게 한다는 것은 두려움을 줄이고 무엇인가에 도전하는 것을 좋아하게 할 수 있을 것 같아 좋았다.

사울 레브모어(경제 전문 법률가)의 아이가 수학과 사랑에 빠지게 만드는 방법
- 하나를 배우면 열을 알 수 있도록, 공부는 재미있는 것, 실수도 재미있는 것
그래 어쩌면 창조적 사고는 응용해보고 다른 분야에 적용해보는 것에 재미를 붙인 아이들의 것이겠지.

신경과학자(폴 자크)의 아이의 질문 폭격에 대치하는 신경학자의 자세
- 아이가 스스로 동기를 부여하고 배우는 자세를 갖길 바란다면 듣자마자 잊어버리는 답을 주는 자세는 옳지 않다
이 이야기에서는 수학문제 풀 때 잘 안 풀린다고 답안지를 보면 전혀 기억에 남지 않아 또 틀리곤 했던 경험이 떠올랐다. 아이는 스스로 찾아보고 요약하면서 배우는 것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겠다.

하워드 모스코비츠의 게임에 빠진 아들에게 철학책 읽히기
이 분의 이야기는 나에게 많은 동기부여가 되었다. 나도 책을 좋아하는 사람인지라 내 아이가 책을 사랑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컷기 때문이다. 우선 서점에 함께 가서 아이에게 읽고 싶은 책을 고르게 하는 것부터 시작했다.

마이클 포셀(신경학자)의 소리치지 않고 아이를 변화시키는 신경학자의 훈육법
- 진심이 아니면 절대 말하지 말라.
가끔이지만 화가 난다고 마음에 없는 이야기 했을 때 울고 있던 아이가 생각났다. 아이들은 진심만 말하기 때문에 부모의 표현이 모두 진심이라 생각하는 것 같고 그래서 상처받는 것 같다. 마이클 포셀의 얘기대로 나를 거울삼아 배우는 아이를 위해 이것만은 꼭 지키고 싶어 졌다.

책에서 나의 교육방식 ‘아이는 공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스스로 할 것이다’를 응원해주길 기대했던 것 같다. 그런데 조금 다른 점이 있었고 많은 생각을 하게했다. 이제부터 나의 생각을 바꿔보고자 한다. ‘아이는 공부가 재미있다고 생각하면 스스로 할 것이다’
아이가 행복하길 바라는 세상의 모든 엄마아빠들 화이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와인 상식사전 - 역사와 문화, 이야기로 즐기는
이기태 지음 / 길벗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와인은 왠지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면이 있어요. 개인적으로 레드와인의 약간 묵직하고 떫은 정통 와인 맛을 즐기고 싶은데 어떤 것이 좋은지 몰라 가볍게 화이트와인으로 무스카토 다스티만 마셨거든요. 그렇다고 따로 공부를 하고 싶지는 않고... 그런데 이 책을 보니 궁금했던 것들이 다 담겨있는 것 같네요. 레이블 읽기부터 다양한 와인에 대한 소개, 와인 상식 등 특히 단순 정보 나열이 아닌 역사, 문화를 배경으로 설명되어 있어 기억하기도 쉽고 또 소개된 와인을 하나씩 마셔보면서 읽으면 새로운 느낌을 줄 것 같아 꼭 읽고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