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당신의 꿈은 안녕하신가요? - 열여덟 살 자퇴생의 어른 입문학 (入文學)
제준 지음 / 센세이션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중고-대학교-공무원/대기업

딱 이런 한 가지 인생이 정답인 것처럼 인정받고 있는 한국에서

중간에 다른 길을 모색하기는 굉장히 어렵다.

어마어마한 용기가 필요하다.


제준은 자퇴생이다.

바로 자퇴생이 한 이야기라는 점이 이 책이 가진 모든 무게를 감당하는 핵심이다.


어려운 결심 끝에 자퇴생이 길을 선택한 제준은

다양한 삶에 관심을 가지는데 그 중 작가라는 정체성도 있다.

그래서 책을 쓴 것이다.


20년이 안되는 동안(세상을 인식하기 시작한 시점에서 기산하면 더욱 경험연수는 짧아진다)

자신이 겪고 생각하고 느낀 바를 토대로

하고 싶은 이야기를 적었다.


한 가지 제목에 두장 정도씩을 할애해서

많은 이야기를 적었지만 

물방울이 모여 바다가 되고 흙이 모여 산이 되는 장관을 보여주지는 못한다.

그냥 파편화된 이야기가 심심하게 펼쳐진다.


저자의 진정성을 의심하지는 않지만

자퇴생이라는 이력을 제외하고는

지금 상태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오랫동안 가만히 잠자코 들어줄 수 있는 독자가 그렇게 많지는 않을 수 있다는 걸 받아들이는게 우선일 것 같다.


자퇴생과 청춘의 장점을 이용해

자기만의 발견을 이야기해야 하는데

뭇 사람들에게 깨달음을 주기 힘든 진부한 이야기가 많다.

그리고 글 구성이 굉장히 산만해서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의도가 선명하게 다가오지도 않는다.

이런 식이라면

같은 연령의 마음은 움직일 수 있을 지언정 나머지 독자에겐 외면을 받을 확률이 높다.


더 많이 읽고 더 많이 써서 더 멋진 작가로 재회할 수 있기를...


*본 서평은 출판사 서평이벤트에 선정되어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제 그 해답이 사랑이라면, 나는 이 세상 모든 것들을 사랑하겠네 - 사랑에 상처받은 이들에게 전하는 단순하지만 명확한 해답
이혁백 기획, 김현진 외 지음 / 내가그린기린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그린기린이라는 신진 출판사의 첫 발간작이다.

인생의 굴곡을 이겨내고 비로소 자기 인생을 살게 된 9명의 이야기가 실려있다.

항상 남의 눈치를 살피며 무언가에 쫓기듯 살아가다가 좌절하는 사람들을 주위에서 많이 살펴볼 수 있다. 아마 거의 모든 한국인은 크고 작은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우울을 느끼면서 살고 있을 거라 추정된다. 거리에서 바라본 사람들의 무표정이 이를 증명한다.


행복과 웃음을 잃고 겨우겨우 살아가는 모습이 대다수의 한국인이 사는 삶이다.

자본주의가 정말 순정의 형태로 완벽하게 작동하는 한국에서 사람들은 피폐해져가고 있다.

하지만 누구도 멈추지 못한다. 내가 멈추는 순간 나만 속절없이 가라앉고 뒤떨어진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누구도 지금의 체제가 문제있다고 생각하지만 계속 체제가 유지되는 이유이다.

한국에서 산다는 건 언제나 난 혼자이며 각종 상처를 견디며 살아가야 하는 참아냄의 연속이다.


책의 저자들이라고 다르지 않았다. 누구나 공감하는 평범한 어려움에 어쩔 줄 모르며 멈칫하다가

비로소 나를 찾고 떳떳함으로 인생을 마주하게 되었다.

저마다의 사연은 제각각이지만 결국 해답은 나의 솔직한 바람을 들여다보는 데 있었다.


물론 공짜는 없다.

같이 쥘 수 없는 것은 과감하게 버리는 용기도 필요하다.

지금이 행복하지 않다면 다르게 살아야 현재를 벗어날 수 있다.


일견 대단해보이는 사람들의 성공담이 아니라 

주위에서 볼 수 있는 동료들이 당당하게 자신을 발견한 모습에서

더 가까이의 위로와 용기를 받을 수 있다.


저자들이 자기 이야기를 하는 데는 공통점이 발견된다.

다른 책을 인용해서 자신의 이야기를 풍부하게 들려주고 있는 것이다. 

아마 엮은이의 가이드라인에서 제시되었기 때문에 저자들이 그에 따라 저술한 것이 아닐까 싶은데 간접적이나마 다양한 책을 접할 수 있어 좋은 점도 있지만 때로는 작위적으로 느껴진 적도 없지 않다.


총 아홉명 저자의 남녀 성비는 1:8로 한쪽으로 크게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남성 독자들은 스스로 이 책의 독자에서 자신을 배제할 수도 있겠다.

아무래도 남녀 간 인생 고비의 차이가 아주 없지는 않겠지만 

동시대를 사는 한국 사람들이 자기 자리를 찾아가는 모습은 인간의 단위에서 논할 일이지 성차는 상관 없어 보인다. 그렇더라도 굳이 책을 추천한다면 그 대상은 여성일 것이다.


*본 서평은 '내가그린기린' 출판사가 벌인 서평이벤트에서 받은 책을 읽고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놀라운 아버지 1937~1974
조동환.조해준 지음 / 새만화책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한국인은 이렇게 살았다. 그때까지만해도 우리만의 지혜와 생활방식이 남아있었다. 헌데 현대인들은 전통과의 결별을 미덕으로 알고 먼 과거부터 축적해온 소중한 문화를 가차없이 버리고 있다. 과거를 까마득히 잊고 현대를 잘 살아간다는 건 어불성설이며 자랑도 아니다.


한 개인의 삶에서 한국을 절묘하게 복원해냈고 한국을 특징짓는 고유함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책을 읽고 많은 사람들이 뿌리를 기억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공도서관 문 앞의 야만인들
애드 디 앤절로 지음, 차미경.송경진 옮김 / 일월서각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책내용은 괜찮은데 번역이 최악 출판사는 전면개역을 통해 명예를 되찾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