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의 척도
마르코 말발디 지음, 김지원 옮김 / 그린하우스 / 2020년 4월
평점 :

이 책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 사후 5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서 쓰여진 소설이다.
르네상스적 인간이라 불리우는, 다재다능하면서 천재적인 재능을 가졌던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역사에 기록된 사실들을 바탕으로 저자는 상상력을 더해 소설로 재구성했다.

처음에 등장인물 설명과 가계도가 나오는데 겁먹지 말기를 바란다. 그냥 참고하고 지나가거나 아니면 읽다가 이름이 나와서 이 사람이 궁금하면 다시 등장인물 설명과 가계도를 그때, 그때 참고하면 된다. 나도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은 헷갈리게 긴 이름들이 잘 눈에 안들어오고 외워지질 않아서 처음에 소설에 몰입하기가 솔직히 힘들었지만 조금 읽다보면 금방 누가 누구인지를 파악하게 될 것이니 걱정말라.
이 소설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옛 제자인 람발도 치티가 밀라노의 군주인 루도비코 일 모로의 성 안에서 죽은채 발견되면서 본론으로 들어간다. 람발도 치티는 죽기 바로 전날, 루도비코 일 모로를 알현했던 사람이었다. 상처하나 없이 차가운 시체가 된 람발도의 죽은 원인을 바로 레오나르도가 알아낸다. 람발도 치티는 목이 졸린 흔적도, 외상을 입지도 않았지만, 레오나르도는 그가 숨이 막혀 살해된 것이라고 확신하였다. 그가 죽기 직전에 루도비코를 알현하려 했다는 것이 찝찝하고 미심쩍은 루도비코는 그를 죽인 사람에 대한 수사를 은밀하게 지시하게 된다.
밀라노 군주 루도비코를 중심으로 그의 아내와 정부가 등장하고, 아내의 아버지가 파견한 대사가 루도비코 곁에 머물면서 아내의 아버지인 페라라 공작, 에스콜레에게 편지로 보고를 한다. 프랑스 대사는 밀라노 방문을 가장한 채, 레오나르도의 비밀공책을 빼앗으려고 여러가지 술책을 꾸민다. 왜냐하면 레오나르도의 비밀공책에 대포를 주조하는 방법이 기록되어 있을 것이라고 확신했기 때문이다. 여러가지 인물들이 서로 얽히고 설키는 과정에서 살해된 람발도 치티의 집에서 가짜 차용증서가 나오면서 수사는 급물살을 타게 된다.
독재군주처럼 보였던 루도비코는 예상을 뒤엎고 레오나르도를 믿어주었고, 레오나르도는 자신의 추리로 람발도 치티의 살해사건을 아주 완벽하고 깔끔하게 처리하여 진짜 살해범을 찾게 된다.

레오나르도의 사후 500주년을 기념하는 소설이기 때문에 역사속의 그가 했던 일들과 말들을 바탕으로 저자의 상상력을 더하여 그럴듯한 이야기를 만들어야만 했기 때문이었을까... 몰입도는 좀 떨어진다. 긴박하고 간결하게 휘몰아치는 속도감이 없어서 좀 아쉬웠다.
마지막 레오나르도 편지에서 그는 '인간의 척도'에 대해서 이렇게 말하면서 소설은 끝이 난다.
"사람은 자연과 다른 사람들을 관찰함으로써만 배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하는 일과 우리가 믿는 것, 무슨 일이 일어날지 우리가 예상하는 것을 비교해보지 않으면 사람의 지성과 판단력이 건전하게 자라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사람의 실수에서 깨달음을 얻는 유일한 방법은 자연 그 자체를 척도로 삼아 자신을 비교하는 것뿐입니다. 사람과 달리 자연은 거짓말을 하지 않으니까요." -본문 346쪽

북튜버<책읽는 치어리더>
https://www.instagram.com/cheer_reading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솔직하게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