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데미안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4
헤르만 헤세 지음, 구기성 옮김 / 문예출판사 / 200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은 아마도 중학교 시절 논술학원을 다닐 때 접했던 책이다. 당시의 난 어른의 권위에 충실히 따르기에는 너무 많이 자랐지만, 방황을 멈추기에는 너무 어린 나이었으므로, 중간도 채 읽지 못 하고 그만둔 것으로 기억한다. 대저 이런 식으로 내가 어린 시절에 놓친 고전이 한 두개가 아니다. 깊이 후회하고 반성한다. 지금이라도 죄다 읽어내어야지.


 세계에는 내적인 방황에 빠져있는 꼬마 싱클레어들이 많았고, 지금도 여전히 많으며, 앞으로도 꾸준히 많을 것이다. 1차대전 발발 전의 유럽,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독일의 젊은이들은 확실히 니체의 절대적인 영향 아래 놓여있었음이 분명하다. 자신의 운명을 마주하고, 고독하게 걸어나간다는 테제는 당시 피끓는 청춘들에게 조명받기 충분했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보면, 데미안에게서 초인의 목젖이 만져지는 것이 그리 놀랄만한 일은 아니다. 광장에서 추락한 광대에게 손을 내미는 차라투스트라처럼, 자기 운명을 들여다보는 것을 감내할 수 있는 '표지'를 가진 이들에게 데미안은 지도자이자, 초인의 형상이었던 것이다. 일찍이 기독교-로고스주의의 이원론적 도덕관(밝은 세계와 어두운 세계)은 (니체에 따르면) 데카당에 지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던 바 있다. 싱클레어가 처음 붕괴를 목도했던 세계 역시 기독교적인 그것과 다르지 않다. 이후로 그는 점차 순종적인 유아(낙타)에서 방탕한 청년(사자)을 거쳐 운명을 그려내는(어린아이) 단계로 나아간다. 차라투스트라, 그리고 아프락사스는 운명 끝에 당도하여 다시 자기에게로 되돌아 올 자신의 형상이자, 세계에 도래할 초인의 또다른 이름인 셈이다.


 개인서사로 투영한다면, 데미안은 세상의 모든 싱클레어들을 위한 책이다. 세계를 깨어버려야 하는 운명을 짊어진 방황하는 청춘들을 위한 희망서사. 희망이라는 말이 잔인하게 변질되어버린 오늘날, 잠시 속세를 등지고 '희망'다운 '희망'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됐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로스의 종말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병철 저 '에로스의 종말'을 몇 달에 걸쳐아니 사실은 몇 달 전에 포기했던 걸 간만에 붙잡고, 다 읽어냈다. (한동안은 중간에 읽다 말았던 책들을 매듭짓는 데 시간을 보내야겠다.) 4장에서 6장까지의 논의는 추후 다시 독해하는 편이 좋겠지만, 7장에서 에로스가 사유의 선험조건이자 핵심이라는 주장을 밀고 나가는 데서 전율을 느꼈다. 한 자 한 자 숙고하며 읽던 책인데(거진 모든 책을 그렇게 읽지만) 그 맹렬한 추동을 따라서 7장은 열렬히 읽어나갔다. 역시 막판에 가서 총성을 질러대는 것이 멋있는 법...


 책에 서술된 '에로스' 개념은 내가 작년 무렵, 철학에 관심을 가지게 된 사건과 비슷한 맥락이 있다. '그는 어느날 갑자기 나를 찾아와서는 새로운 세계로 이끌었다.' 헤겔의 '정반합' 개념처럼 나는 어떤 근원적 '진, 선, 미'에 대한 희망을 품게 됐고(쉽게 말하면 믿음이 들어 온 게다. 아브라함 계통의 인격신 개념이 배제된. 그래서 내가 가톨릭에 쉽게 친화될 수 있었다.) 여느 인문주의자들처럼 세계를 '구조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게 되었다. 이른바 사유의 힘을 깨닫게 된 것이다. 그런데 그뿐이었다. 나는 금새 질려버렸고(에로스는 식었고 'Cupid's Dead'), 새로운 데이터를 동화해내지 못한 스키마는 점점 말라 죽어갔다. 일련의 시기를 거쳐, 결국 지금에야 가까스로 경종을 울리기는 했다.(잘 울렸는지 아직 가늠하기는 어렵지만), 그런데 그때의 이성은 지금에 와서 일정 때묻고, 다듬어졌겠지만(어느 방향으로든) 그때의 '에로스'는 여전한가. 그 열망을 재생산하기에 나는 여전히 순수한가...이것은 실존적 물음이다.


 목표가 더 구체화되고 있다. (좋은 징조) 우선은 문해력이 절실하다. (나는 너무할 정도로 이 부분에 약하다.) 다음은 작문력. 정확히는 내 사유를 포착(capture)하고 텍스트를 기록해내는 일련의 과정에 해당하는 능력들이 필요하다. '결국 기표에는 다 드러난다.' 이것을 게을리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이것들을 지탱하는 에로스적 열망이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겠지.


 타자와의 생동하는 관계를 사유 속으로 끌어들이는 '용기'가 필요하다. 이것은 '에로스'에서 시작하는 사유. '사유'로 시작하는 에로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