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 카프카 단편선 세계의 클래식 9
프란츠 카프카 지음, 권세훈 옮김 / 가지않은길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프카 - 변신'. 역시 데미안과 마찬가지로 중학교 논술학원 다닐 때 접했던 책이다. 그때는 손도 대지 않았지만, 아마 손 댔더라도 몇 자 읽다가 짜증나서 때려쳤을 게 분명하다. 그만큼 취향을 타는 작가라는 소리인데, 지금도 '카프카'라는 이름이 주는 어두움과 고독감이 참 부담으로 느껴지곤 한다. 그러나 이와는 별개로 그의 작품이 주는 비평적 가치는 흥미를 자극하는 부분이 맞다. 플로베르의 '마담 보바리'처럼 말이다. (이 책 또한 교수님1께서 추천해주셨는데, 물론 읽어보지 않았다.)


 '변신'은 꾸준히 비극적인 분위기를 견지한다는 점에서 난해하다. (앞서 카프카의 단편 '선고'가 실려있는데, 이 역시 마찬가지다.) 나이브하게 얘기하면 '꿈도 희망도 없다.' 절망, 혼돈 내지 파괴 속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해내는 사람들도 있지만, 적어도 그게 나는 아니다. 다만 비평을 통해 자산이 되고, 더 흥미로워지는 작품이기 때문에 '취향'은 아니지만 좋다고 하겠다. (꿈보다 해몽......) 이 소설을 포함한 카프카 문학세계의 전반을 실존주의의 맹아로 해석할 수도 있겠지만 작품해설은 좀 다르게 설명하고 있다. 카프카를 전공했다는 역자는 '변신'이라는 행위를 '돈 벌어다 주는 기계'로 전락한 주인공의 일탈이자 자본주의, 성과주의 체제의 부조리 폭로라고 설명한다. 인간이면서 인간성이 단절된 주인공이 처한 상황은 '벌레'와 다르지 않다는 것. 그래서 '벌레가 되었다'는 노골적인 설정이 작품을 이루는 골자라는 것이다. 주인공은 가족들을 사랑했다. 그러나 더이상 재화교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된(벌레가 된) 주인공은 가족구성원으로부터 배제되고 만다. 이제 '그'는 '그것'에 지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주인공은 체제로부터 해방되었다. 완전히 무력해져 아무도 일을 시키지 않는(이상 - '회한의 장') 상태에 놓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것은 결국 인간을 포기하고 얻어낸 해방으로, 주인공에게 돌아온 것은 구원과 같은 예견된 죽음이며, 가족들은 이에 전혀 개의치 않아 하는 모습을 보인다. 평생을 생업에 종사하며 글을 쓰다가 요절한 카프카의 일생에 대입하면 작품의 주제의식이 명확해지는 게 참 비장하게 느껴진다. 이러니 어찌 탄복하고 경외하지 않을 수 있을까.


 청소년들 읽으라고 추천해주는 20세기 고전들은 대체로 자본주의/성과주의 체제로부터 상실된 인간성의 회복을 주제로 한 작품이 많다. 어쩌면 그 속에는 '어차피 힘든 세상이고, 잔인한 체제니까 문학전선에 뛰어들 생각이면 마음 똑바로 먹어라. 그런데 그때보다 상황은 훨씬 더 열악하다...'라는 무언의 압박이 담겨있지 않았나 싶다. (당시에 유행했던) 자기계발서도 아니고, 문학에서 체제순응적인 논리를 학습하기란 아이러니니까. 따라서 문학은 어딘가 어둡고 고독한 사람들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세상 너머에서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는 사람들. 그들 내면의 깊이 만큼 문학은 구원에 이르는 양분이 되겠지. 



-

'요제피네, 여가수 혹은 쥐의 종족'은 카프카의 예술관이 드러난 짧은 꽁트다. '그것은 뻔하지만 세계와 인간을 구원하는 것.' 생전 최후의 작품이라는데 죽음을 앞둔 거인의 초연함이라는 점에서 칸트의 '영원한 평화'와 비견되지 않는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