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생 잃어버린 날 ㅣ 동화 보물창고 8
안네마리 노르덴 지음, 원유미 그림, 배정희 옮김 / 보물창고 / 2006년 8월
평점 :
절판
안네마리 노르덴이 아이들에게도 어른들에게도 인기 작가로 정평이 난 이유는 일상에서 흔히 일어나는 일들을 소재로 이야기를 유쾌하게 풀어가기 때문이다. 『동생 잃어버린 날』도 그런 이야기 중 하나인 데 이 책을 읽어본 독자라면 대부분 책을 받아든 순간 자신의 어릴 적 경험을 쉽게 떠올리게 될 것이다. 형제가 많은 우리 집은, 딸 중에 막내였던 나는 안나가 오빠 얀의 모래놀이에 함께하고 싶어 했던 것처럼 언니들의 놀이에 끼어들고 싶어 했고 때로는 성가신 존재가 되곤 했다. 어린마음에 가끔은 그런 언니들이 무척 매몰차게 보이고 한편으론 심술이 나서 언니가 아끼는 물건을 망가뜨려 놓기도 했다. 그리고 언니들이 그러했던 것처럼 내 아래 남동생 역시 종종 내겐 방해꾼이자 귀찮은 존재가 되었고, 나이 터울이 가장 적은 누나인 나는 동생에겐 만만한(?) 존재였던 터라 저랑 잘 놀아주지 않으면 내 장난감인형을 부러뜨려 놓거나 나의 놀이를 망쳐놓기 일쑤였다.
동생이 한없이 성가신 존재로 느껴질 땐 정말이지 동생을 낳은 엄마가 원망스럽기도 하고 동생이 어디론가 사라져버렸으면 하는 생각이 간절했다. 하지만 동생이 정말로 사라진 것처럼 동생을 잃어버렸을 땐 얀처럼 불안과 초조와 후회가 꽉 찬 마음으로 동생을 찾으러 뛰어다녔다.
안나 같은 동생의 입장에 있는 아이들이라면 ‘나더러 귀찮다고 쫓아낼 때는 언제고 이제는 없어졌다고 찾다니, 어디 좀 당해 봐라’ 하는 마음이 들 것이다. 가족들이 자기가 없어졌다고 난리가 났는 데에도 일부러 소파 밑에서 나오고 싶지 않을 것이다.
사실은 동생이 가까이에 숨어 있는 줄도 모르고 얀은 동생이 좋아하는 곳, 평소 잘 가던 곳을 찾아 이리저리 뛰어다닌다. 자칭 사람 찾는 도사라고 하는 토비까지 동원하지만 토비도 안나처럼 얀의 애를 태우기는 마찬가지다.
자신도 경험해 봐서 안다고, 토비가 소파 밑에 숨어 있던 안나를 찾아내고 안도와 미안함과 화해의 분위기 속에 ‘동생 잃어버린 날’은 ‘동생 찾은 날’로 이야기가 끝난다.
때로는 한없이 밉고 귀찮은 존재가 되지만 그래도 잃어버리고 싶지는 않은 존재, 더없이 소중한 존재라는 걸, 가족은 그런 존재라는 걸 안네마리 노르덴은 일깨워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