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미식회 - 알고 먹으면 더 맛있는 맛집 가이드
tvN 수요미식회 제작팀 엮음 / 시드페이퍼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tvN 맛집 해부 토크쇼 <수요미식회>를 영상이 아닌 활자로 만납니다. 단순히 맛집을 소개하는데 그치지 않고 요리와 식당의 역사, 유래 문화사적의 의미를 풀어나가요. 미식에 일가견이 있는 전문가와 패널들로 하여금 직접 먹어보고 맛을 평가한 후기를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지요. 무조건 맛있고, 추천한다가 아닌 아쉬운 점을 이야기한다는 점이 좋습니다. 그러나 저마다 입맛이 다르니 가타부타 말하기가 어려워요. 결국은 먹어보고 본인이 판단해야 하는 것이겠죠. 맛집 가이드로서는 참고용으로만 보시면 된다는 점_

제 아무리 맛.집 이라 알려져도 실제로 가서 먹어보니 생각했던 것보다 못하다 싶은 곳이 많았어요. 줄을 서서 먹어야 할 정도로 인기라는 집들도 고개를 갸웃거리게 만든다는 점에서 맛집에 대한 소개보다는 음식에 대한 정보들이 더 와닿았어요. 요즘 '먹방', '쿡방' 요리 관련 프로그램들 덕에 이런저런 음식을 만드는 노하우를 배우기도 합니다. 그러나 식재료 자체에 대한 이해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했던 것과는 달리 수요미식회가 그 빈자리를 조금은 채우지 않았나 합니다.

 

달걀에서 나는 비린내는 유황성분 때문인데, 각각의 성분분석표를 보면 흰색 달걀이 갈색 달걀에 비해 유황성분이 더 적어 맛도 훨씬 좋다. 그럼 언제부터 우린 맛이 떨어지는 갈색 달걀을 먹기 시작한 것일까? 1980년대 말~90년대 초에 갈색 달걀이 토종란이라는 인식이 퍼지면서부터다. 하지만 이는 낭설이다. 달걀 업자들이 판매를 위해 꾸며내 마케팅을 한 것에 불과하며 갈색이든 흰색이든 모두 외국에서 들여온 산란 닭이다. 그 결과 미국과 유럽, 일본은 50% 이상이 흰 달걀인데, 우리나라만 90% 이상이 갈색 달걀을 먹고 있어 흰 달걀을 찾기도 힘들 정도다. -p36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대표 메뉴를 추려 그에 대한 문화와 성장을 이야기한다는 점이 좋았던 거 같아요. 문닫기 전에 가봐야 할 식당들을 소개하며, 음식점 성공 노하우와 맛의 비결을 담은 이야기를 두런두런 나누는 책입니다. 찬찬히 책장을 넘기다보니 그런 생각이 하나 들더군요. 음식에 대한 평가를 크게 하지 않고 즐겼던 것과는 달리 함께 밥을 먹는이가 까다롭지 않은 식성으로 음식의 맛과 멋, 식감을 잘 표현해준다면 더 맛있는 식사를 할 수 있지 않을까하고 말이죠. 자극적인 맛, 조미료에 익숙해져버린 저는 맛보다는 분위기와 서비스 교육 등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더랬는데, 이제는 맛 자체를 깊이 있게 들여다보려고 애써야겠다 싶습니다. 알고 먹는 것, 또한 많은 이야기를 함께 나눈다는 것이 식사 자리를 한층 빛내주는게 아닐까 하거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