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서른 살, 까칠하게 용감하게
차희연 지음 / 홍익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30대가 되면 괜찮은 차 한 대 있어야 할 것 같고, 집 장만할 돈도 모으고, 직장생활 10년이면 과장으로 진급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모아놓은 돈은 거의 없고, 언제 고장날지 모르는 중고차를 몰고 있습니다. 그나마 월세에서 벗어나 전셋집이라도 마련했다면 다행입니다. 한 가지 일을 10년간 진득하게 하면 누구나 전문가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말만 철썩같이 믿고 열심히 버텨 왔지만 승진은 불확실하고, 과연 내가 전문가로 불릴 만한 일을 하고 있는지도 의심스럽습니다. 땅굴을 파던 어느 날 마침내 이런 결론을 내립니다. '아, 내 삶은 실패한 거 같아!'​ -(프롤로그에서)

 

여자 나이 서른, 당당한 직장인을 꿈꿔보지만 쥐뿔도 없을 것만 같아 불안감이 스며든다. 남들 다 하는 결혼을 못하진 않을까? 직장에서 여전히 이리저리 채이고 자리잡지 못하면 어쩌지? 자차도 없이 뚜벅이 생활의 연속이라면? 한 살 먹어갈수록 서른이라는 나이의 중압감에 치인다. 내가 꿈꾸던 모습은 온데 간데 없고 간신히 부여잡고 살아가는 삶이 희미하게 스치는 가운데 저자의 프롤로그에서 멈칫거립니다. 내 서른의 모습이 눈 앞에 아련해지는.

 

또한 저자는 말합니다. 흔히 야구를 인생에 비유하여 영원한 강자도 약자도 없다고 말이지요. 1회 초에 10점을 내줘도 1회 말에 11점을 얻을 수 있는게 야구라구요. 평균 수명 100세 시대에 30대를 야구 경기에 비유한다면 고작 3회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여 인생의 중요한 부분을 모두 결정지어야 할 것 같아 초조한 서른 살, 어설픈 신입에서 벗어나 사람과 일을 파악하는 데 조금 더 노련해지는 것도, 착한 여자 콤플렉스에서 벗어나 까칠하고 용감하게 감정을 표현할 줄 알게 되는 것도 이제부터라고 말이지요.​

 

 

감정표현에 인색한 사람들, 혹은 극도의 부정적인 감정에 사로잡혀 일과 인간관계를 망치는 여자들을 위한, 감정을 제대로 조절하고 표현하며 사는 법을 책은 이야기합니다. 솔직하고 당당하게, 자기표현 확실하게 이야기하라고 세상은 말하지만, 그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만의 잣대를 들이밀며 평가합니다. 여기에 많은 사람들이 상처를 받고 덜 솔직해지기로 마음먹죠. 생각과는 다른 말들을 꺼내어놓으며, 소리없이 숨죽여가는 사람들에게 제대로 분노하기, 감정 표출을 해야함을 이야기합니다.

 

직장내의 유리천장, 일과 육아 스트레스로 인한 퇴사고민 등 서른무렵에 오는 고민거리와 문제들이 많이 공감이 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의외로 사람들은 나에게 관심이 별로 없다 -p34 라는 글에서 멈칫, 생각보다 우리는 타인의 지난 행동을 오래 곱씹게 되지는 않는 거 같습니다. 우스운 사건들도 그 순간의 가십거리에 불과할 뿐이라는 것이죠. 혼자 밥을 먹는 일, 두번은 생각하고 싶지 않은 일들도 시간이 지나면 별 일 아니었다는 듯 잊혀져버립니다. 언제나 그 상황을 기억하려고 하는 것은 나 자신이지요. 순간의 감정을 잘 컨트롤 할 수만 있다면, 이 부정적인 감정을 오래 끌어안고 있지 않아도 되기에 끊임없는 감정코칭연구가 필요한게 아닐까요.

 

심리학자 하워드 카지노브와 레이먼드 칩이 집필한 <분노 관리하기>에서는 분노를 발생시키는 사건 중 80%가 자신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행동에 의해서 일어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그리고 화가 나는 사건의 70%는 친밀한 사람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화가 나는 상황이라고 할지라도 자신이 어떻게 받아들이고 판단을 하는지에 따라 그 결과는 달라집니다. 오지랖 넓은 사람들이 무심코 던진 말에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 p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