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땐 몰랐던 일들
신소현 글.사진 / 팜파스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적 가면을 덧씌우고 살아가는 사람들 틈에서 숲이 아닌 나무 하나 조차 제대로 보고 있지 못합니다. 그때도 지금도 저는 길을 헤매고 있습니다.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간다는 것, 함께 하지만 함께 하는 것 같지 않을 때의 홀로서기를 말이죠. 책의 제목만으로도 참 많은 생각이 스칩니다. 그땐 몰랐지만 지금은 알게 된 삶의 교훈들, 여전히 아리송한 모순된 부분들을 말입니다.

​ <그땐 몰랐던 일들> 의 저자 신소현 님의 전작인 <이 길에서 벗어나도 괜찮아> 역시 같은 느낌의 책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차분히 자신의 내면을 돌아보도록 하는 에세이, 특별한 것은 없어도 그 잔잔함 속에 경험하고 배운 것들을 이야기하며 소탈함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 느껴집니다. 때론 그 수수함에 빠져들지만 밋밋하다고도 여겨집니다. '모험과 도전' 적인 면이 부족했기에.
그녀의 여행 일기에는 '사람' 이 돋보였습니다. 그들과의 일상에서 소박한 즐거움을 얻어간다는 것이 낯선 곳으로 떠나는 이유는 아니었을​까 싶을만큼요. 맛집은 아닐지언정 단골이 되어 자주 찾아가는데 의미를 두고, 동네의 주민이 된 듯 친근하게 주고받는 인사말들이 읽는 이로서도 즐거움이었습니다. 한국인의 소박한 밥상이 떠오르는 것은 '음식과 사람' 이 만나는 이야기들이 가장 기억에 남기 때문입니다.
#011. 망각의 시간 中
나에겐 돌아가고 싶은 순간은 없다.
사실 있지만 없다고 말하고 싶다.

"지나간 힘든 시간은 이제 잊어도 괜찮아요.
그거 마음속에 쟁여두면 뭐해요.
꽉 차버려서 다른 기억들이 들어갈 자리가 없으면 안 되잖아요." -p53
여담이지만 비전문가들 역시도 전문가 못지 않은 재주를 지니신 분들이 상당수 있습니다. 이 분들 중 몇몇분들은 트렌드를 잘 읽는 사람들이기도 합니다. 대중이 선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꿰뚫고 있는 분들은 그 파급력이 상당하지요. 촌철살인이 가히 예술적인데 싶은 분들, 최근 이런 분들의 글을 읽었기 때문인지 신소현 작가의 글이 다소 심심했던게 아닌가 합니다.
#009. 마음대로 할 수 없다 中
아직도 어떻게 살아야 할지 도통 감이 오지 않는다. 늘 이렇다.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보아도 어떤 문제 같은 것은 가지고 있지 않았다.
단지, 선택은 늘 스스로 해야 했고 책임 또한 나에게 있었던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