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랑한 화가들 - 살면서 한 번은 꼭 들어야 할 아주 특별한 미술 수업
정우철 지음 / 나무의철학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상깊은 책, 좋아하는 작가는 선명한 반면 미술작품, 화가는 쉽사리 떠오르지 않는다. 학습으로 눈에 익은 고흐, 클림트, 마네, 모네 등이 생각나지만, 유명해서 좋은 것 그 이상으로 다가오지 않았다. 실제 작품을 눈 앞에서 본 적도 없거니와, 화가의 삶에 비추어 현재의 나를 보아도 이렇다 할 감정을 느낄 수 없었기에 나는 지금도 많은 미술 책을 뒤적인다. 작품을 보는 안목을 기르고 싶고, 미술을 통한 치유의 길에 접어들 언젠가를 위해서-

그림은 정답이 없고, 취향만 있을 뿐이다. 정우철 저자의 <내가 사랑한 화가들> 속 마르크 샤갈, 앙리 마티스, 폴 고갱, 에곤 실레 외에도 익숙한 화가들이 많았다. 그들은 고단한 삶 속에서도 붓을 내려놓지 않고 화폭에 담고자 했는데, 나는 여전히 그 세계를 난해하다고 여긴다. 화려하거나 따뜻한 색채를 좋아하고, 정형화된 아름다운 미를 보았을 때 잘 그렸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책을 읽을수록 화가의 상황과 감정이 녹아들어 작품을 바라보게 되었다. 환희도, 절망도 그림에 담아 보내는 마음이 오죽할까.

아픔을 예술로 승화시킨 프리다 칼로의 그림이 눈에 들어왔다. 많은 서적을 통해 봐왔음에도 어느날 문득 내게 위로의 말을 건네줌을 경험하니 새로웠다. 그녀의 삶을 들여다보고 이해했기에 가능한 일이 아니었을까? 시련의 아픔 속에서도 붓을 놓지 않는 작가, 복잡아 마음을 가다듬어 화폭에 담아내기까지의 참담한 심정을 이루말할 수 없었으리라. 고통스러운 삶을 살았지만 인생에서 사랑을 중요하게 생각했던 프리다 칼로를 오래도록 기억하게 될 것 같다.

왜 남들에겐 그저 주어지는 일들, 이를테면 하루하루 살아가고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고 아이를 낳는 일이 왜 나에겐 허락되지 않는 걸까, 한탄하면서요. 하지만 그런 절망에 사로잡혀 삶을 포기했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위대한 화가는 존재할 수 없었겠죠. 그녀의 일기장에는 “나는 1년을 앓았고, 척추 수술을 일곱 차례나 받았다. 자주 절망에 빠진다. 어떤 말로도 표현할 수 없는 절망감,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고 싶다”라는 내용이 쓰여 있었다는데, 어떠신가요? -p140

정우철 도슨트의 글이 재미있는 이유는 화가의 인생을 보고 작품을 이해해보려함에 있다. 작품 분석에 주력하여 어렵고 지루하게 미술 수업을 이어가기보단 화가의 삶을 한 편의 영화처럼 그려낸다. 지식이 필요할 때는 정보 설명 위주의 글이 더 맞지만, 입문자에게는 조금 더 친근하게 다가가는 방향이 필요하다. 예술은 어렵지 않고, 도처에 널려 있음을 알아야 한다. 문학, 그림, 음악 등 결국 세상과 소통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일 뿐이다.

우직하게, 소신대로 자신의 길을 걸은 화가들, 또는 각자의 자리에서 한 발자국 더 나아가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위로가 될 수 있기를 - 힘든 삶에 그림이 위로가 되는 순간을 아주 조금은 알 것도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