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의 곤충사회
최재천 지음 / 열림원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곤충이라면 질색팔색 하는 탓에 저자가 어떤 인물인지 전혀 알지 못했다. 그러나 페이지를 넘겨갈수록 한 분야에 몰입해서 새로운 것을 개척해나가시는 분들에 대한 존경스러움이 커졌다. 최재천 박사님의 민벌레, 개미 연구에 대해 알지 못해도 그가 연구에 얼마나 열정적이었는지는 살펴볼 수 있었다. 관심분야를 파고드는 집요함이 연구결과에 성과를 보이기도 하고 아닐 때도 있겠지만 끝없는 배움과 이를 공유함으로서 발생하는 파급력을 다시금 생각하게 되었다. 전문가 또는 지식인이라 불리는 사람들이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해 무엇을 고민하고 화두로 내던지는지 생각해야 한다.

사설이 길었다. 이 책은 저자의 강연과 인터뷰를 바탕으로 쓰인 글이다. 2밀리미터의 작고 아름다운 사회, 자연생태계로부터 인간이 배워야 할 경쟁과 협력, 양심과 공정을 곱씹게 만든다. 기후변화로 생물다양성은 감소하고, 인류가 멸종할지도 모른다는 기사를 종종 보지만 나는 무관심한 편이다. 인간이 지구에서 오래 살기를 바라는 이들은 환경을 지키고 자연생태계와 어울려 살아가는 방법을 모색하려 하지만 후세에게 물려줄 인류의 재산인 자연환경에 관심이 많은 사람은 얼마나 있을까? 눈여겨보지 않으면 모르는 것들을 꺼내보게 되었다.

생태학자이자 동물행동학자인 최재천 박사는 개미와 꿀벌 등 다양한 생태종과의 공생 관계를 통해 생존 그 너머에 우리가 추구해야 할 가치를 묻는다. 인류와 비슷한 점으로 하여금 나아가야 할 방향을 보면 작금의 사회는 개탄스럽다. 자연생태계는 혼란에 빠져 꿀벌이 가야 할 길을 찾지 못하기도 하며, 개미의 희생을 보지 못한다. 생태계를 존중하지 못하고 개인의 이득만을 추구한다면 우리는 더불어 살아갈 수 없다.

<최재천의 곤충사회>는 입말로 되어 있어 편하게 읽히는 책이다. 저자의 삶을 엿보며 가치관, 연구 방향, 학습 등 많은 것을 생각해보게 되었다. 개미 연구하는 사람 옆에서 주구장창 개미 이야기를 듣고 들여다보게 된다면 빠져들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지만, 곤충에 관심이 가기보다는 그로 하여금 세상살이에 더 관심이 간다.

더 이상 어느 한 개인이 문제의 답을 찾는 시대가 아닙니다. 한 학문 분야에서 해결책d을 찾는 그런 시대는 지났습니다. 21세기는 학문이 만나야 답을 찾을 수 있는 시대입니다. 그런 시대에 걸맞은 사람이 되어야 하는 겁니다. 자연과학을 하면서 인문 소양을 갖춘 사람, 인문학자지만 자연과학을 이해하는 사람, 그런 사람이 이번 세기에 살아남는 겁니다. - p86

공정은 가진 자의 잣대로 재는 게 아닙니다. 재력, 권력, 매력을 가진 자는 함부로 공정을 말하면 안됩니다. 가진 자들은 별 생각 없이 키 차이가 나는 사람들에게 똑같은 의자를 나눠주고 공정하다고 말합니다. 아닙니다. 그건 그저 공평에 지나지 않습니다. 키가 작은 이들에게는 더 높은 의자를 제공해야 비로소 이 세상이 공정하고 따뜻한 세상이 됩니다. -p1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