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스 오브 갓 - 그 의사는 왜 병원에서 몸을 던졌을까?
사무엘 셈 지음, 정회성 옮김, 남궁인 감수 / 세종(세종서적) / 2019년 8월
평점 :
절판


인간과 사회 현상의 이면을 얼마나 적나라하게 드러내는지 - 불편했다. 의료계의 민낯을 마주하고 싶지 않았던 것일까, 직업적 환상을 깨부수고 싶지 않았던 것일까. 그레이 아나토미의 드라마 속 의료환경을 꿈꾸다 발을 잘못 디딘 기분이다. 가보지 못한 길에 대한 동경, 경험해보지 못한 일에 대한 로망을 산산조각 내버렸음에도 개운하지 않다.

이 책은 1970년대 미국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인턴인 로이 바슈의 눈을 통해 병원 시스템의 비인간화, 의료문제를 생각하게 한다. 시대적 배경으로 하여금 의료 서비스의 질보다 의사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에 집중된다. 헌신과 과로 사이에서 인턴들의 고군분투는 여느 직장과도 다를 게 없지만, 막연했던 그 세계를 들여다보고 나니 냉정하고 확실한 진단과 치료를 할 거라는 믿음이 사라진다. 의사는 환자의 생명을 살려야 하고, 환자는 살기 위해 의사에 기대야 한다. 하지만 - 잘못된 행위와 의료적 의사결정에 따른 피해에 초점이 맞춰진 나는 읽는 내내 마음의 무거움과 갑갑함을 내려놓을 수 없었다.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여 인턴-레지던트-전공의-교수가 되는 과정을 밟아나가는 동안 수많은 환자와 다양한 죽음을 보게 되는 의사들의 고충을 말해 무얼 할까. 생명을 살리는 일의 위대함을 존경하면서도 그 속에 감추어진 알지 못했던, 알아도 모른 척 눈감아버렸던 일들이 머리속에 떠올라 메스꺼웠다. 이는 비단 의료사회에서만 벌어지는 일이 아니다. 직장생활 N년차에 들어 요령이나 꾀를 부리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게되는 현재도 별 반 다르지 않다.

의사들의 세계를 이야기함에 있어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쉽게 풀어 써내려갔지만 좀처럼 집중하기 어려웠다. 용어의 난해함보다 치열한 삶의 한 장면에서 올곧게 나아가기 위한 투쟁으로서 이 책이 읽혀졌다. <하우스 오브 갓>은 훌륭한 사람에 앞서 보다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에 집중하게 되며, 저마다의 근로환경과 그들을 대하는 마음가짐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될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