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공무원 어쩌다 글쓰기 - 출퇴근길에서 만나는 노무현 대통령 막내 필사의 생각 모음
장훈 지음 / 젤리판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쩌다 공무원이 되어버린 이들을 '어공'이라 줄여 부른다. 그들은 별정직, 계약직, 임기직 등 필요에 따라 일정 기간 근무하는 공무원으로 제각각 맡은 분야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 장훈 작가 역시 마찬가지다. 청와대 행정관, 충남도청 미디어센터장, 인천시청 미디어담당관 직을 맡아오며 어느덧 14년차 공무원으로 일하고 있는 그는 어공 생활의 순간들과 일상을 글로 남겨 한 권의 책을 내보였다.

2003년 참여정부 '대통령비서실 행정관'이 그의 첫 공직이 되어 연설비서관실, 여론조사비서관실, 정무기획비서관실을 두루 거쳐 별정직 3급 부이사관으로 청와대를 나오기까지 그 숨가쁜 시간들을 책은 다 담아내지 못한다. 그럼에도 알 수있었던 단 한가지는 쓰면 쓸수록 글쓰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문장과 어휘를 고르고 수십번의 퇴고를 거쳐도 만족하기 쉽지 않다. 쓸데없이 장황한 설명에 글이 무거워지기도 하고, 논점을 잃어 헤매이는 가벼운 글이 되기도 한다. 좋은 글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글을 써야 하는가에 대해 끝없이 고민하기에 이른다.

저자는 글쓰기에 대해 대해 꾸준한 반복과 더불어 간단명료함을 이야기한다. 효과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하나 그 중에서도 간결한 메시지가 기본이 되어야 한다. 요점을 흐리지 않고 내용의 정확성을 높이는 전달이 우선이라는 점에 동의한다. 그러나 때때로 나는 얼마나 많은 비유를 통해 내용을 전달하는지 모른다. 애매모호한 말로 빠져나가지말자 싶다가도 책임을 전가하게 되는 현실이다.

#끈기와 끊기

'끈기'가 부족하면 뭔가를 제대로 이루기가 어렵다

'끊기'가 부족하면 스스로 주도하는 삶을 살지 못한다.

글쓰기도 '끈기'와 '끊기'의 절묘한 줄타기이다.

"글이라는 것은 작고 디테일한 것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중요할 때도 있고, 크고 거시적인 것에 대한 '통찰'이 필요할 때도 있는 것 같아요."

대통령의 연설을 쓰는 일은 글을 잘 쓰는 것 못지 않게 사람의 마음을 읽어내야 하는 일이기도 하다. 듣는이와 말하는 이 모두를 사로잡는 글이라면 바랄게 없겠지만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경직된 조직 문화에서 유연한 사고와 글쓰기를 말하는 것은 쉬우나 이를 행동하기란 어렵다. 저자의 어공 생활을 엿보며 제자리걸음하고 있는 모습에 반성이 된다.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지만 관례에서 벗어나지 못함에 생각이 깊어진다.

이 책은 저자의 평범한 습관, 행동력, 관계에서 오는 일상의 이야기를 담백하게 나타낸다. 그러나 나는 조직 내 홍보 분야에 변화의 바람을 모색하는 장훈이라는 사람 자체의 멋스러움이 크게 느껴진다. 그것은 일에 대한 책임감, 열정이 필요한 시점이었기 때문이었을까? 정체되어있고, 안주하고 싶은 마음을 다잡게 만든다. 글을 읽는 것에서 나아가 다양한 생각들을 쓰고 나누어야 하는 지금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