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JOB 다多 한 컷 - 고생했어, 일하는 우리
양경수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의 전작 <실어증입니다, 일하기 싫어증>, <아, 보람 따위 됐으니 야근수당이나 주세요>는 매일 반복되는 직장인의 고투를 담고 있으며, 실실 미소가 새어나오는 위트있는 한 컷 그림들로 구성되어 있다.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는 말보다 피할 수 없어 피해 본 직장인의 고달픔이 더 와닿기 때문이었을까? 유쾌하게 그려낸 이야기들이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샀다. 재치있는 그림으로 SNS에서 '그림왕 양치기'라는 예명으로 활동중인 작가의 이번 책은 잡(JOB) 다(多)한 컷으로 각 분야의 직업을 이야기하기에 앞서 요즘 드는 생각 한 가지가 있다.  '내가 하고 있는 일만큼 힘든 게 없다!'

 

 

 

 


오늘 하루도 수고한 당신, 술 한잔 하며 힘들었던 기억들은 떨쳐낼 수 있기를 바래본다. 이 책은 다양한 직업군에서 오는 고충을 이야기하는데 택배기사, 사회복지사, 간호사, 소방관, 은행원, 스튜어디스, 미용사 등 그 모든 직업들을 완벽히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는 것에서 시작된다. 겉으로 보여지는 것이 아닌 이면을 들여다보려면 몸소 부딪쳐봐야만 안다. 경험해보지 않고 왈가왈부하는 것은 섣부른 판단을 내릴 수 밖에 없고, 오해를 살 수 있다. '배려'가 아닌 '강요'하는 사회에서 상대방의 입장을 헤아릴 수 있는 이 몇이나 될까?  (결단코 쉽지 않은 것이 상대를 이해하는 일이다)

 


특정 직업군이 겪는 애로사항과 그들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에 대해 생각한다. 밤늦도록 계속되는 택배, 제 몸 하나 돌보기 힘든 간호업무, 실적에 쫓기는 은행원 등 고된 노동이 주는 값진 선물보다 상처되는 말과 행동에서 직장인의 피로감은 가중된다. 긴급을 요하지 않는 일로 119를 부르고 반말과 욕설이 오가는 현장에서 정신은 피폐해질 수 밖에 없다. 그들 모두는 누군가의 엄마이자 남편, 누군가의 아들과 딸인 사람들이기에 우리는 관계에 더 조심스러워야 한다.

잡(JOB)의 한 컷 한 컷은 풍자가 주는 재미와 더불어 직업에 대한 잘못된 이미지가 얼마나 무서울 수 있는지, 투철한 사명감을 지닌 이들이 어떤 보람과 고충을 느끼는지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서비스직의 고마움보다는 당연함을 생각하고, 잘못된 관행을 따르는 것에 대한 통렬한 반성이 필요한 때가 아닐까.  당연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어떤 자리에서든 존중받길 원한다면, 먼저 존중하는 것이 맞다. (설령 상대가 나를 존중하지 않을지라도)

직장인들의 애환 속 사회 메세지를 던지는 잡(JOB)다 한 컷 에 대해 충정도의 말을 남겨본다. '그렇게 급하면 어제 오지 그랬슈' 조금 더 상대를 이해하고 느긋한 마음을 가져야하지 않을까.


단 한 사람이 총대를 매는 것이 아닌 모두가 나서서 직업에 상관없이 대우 받는 세상을 꿈꾸지만 그런 날은 꽤 오래 걸릴 것이라는 것 역시 부정할 수 없다. 나와 너 함께하는 '우리'를 가장한 사실상 너를 짓밟고 일어서려는 '나'라는 사람은 계속해서 나올 수 밖에 없다. 남보다 더 잘 살고 싶은 것은 당연지사 그러나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다양한 직업군을 존중하는 자세가 아닐까. 불법적인 일이 아니라면 자신이 하는 직업에 대해 당당하고, 그들 모두를 응원하겠다. 주어진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는 사람들의 삶에 박수를 보낸다. "고생했어, 일하는 우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