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3 - 하루 5분 감각이 업그레이드되는 최고의 인문학 만찬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3
지식 브런치 지음 / 서스테인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이허기질때나는교양을읽는다3 #지식브런치 #서스테인 #도서협찬

📖소금이 역사적으로 부와 권력의 상징이었다는 점도 있다. 아주 오래전부터 소금은 곧 돈이나 다름없는 귀한 존재였다. 봉급을 '샐러리 Salary'라고 하고, 봉급 받는 사람을 샐러리맨이라고 하는데 이게 다 소금인 솔트에서 나온 단어다. 즉 봉급은 소금이고, 셀러리맨은 소금받는 사람이란 뜻이다.

📖미국에서 수박은 흑인들을 실은 노예 무역선과 함께 들어왔다. 값싼 수박을 먹이며 배로 실어온 것이다. 흑인 노예들은 자신이 일하던 농장 한쪽에 수박을 심었다. 백인 농장주들은 은혜를 베풀 듯 이를 허용했다. 노예선에서처럼 식량비를 줄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수박이 가난한 자들의 음식이란 인식이 있었고, 피자는 가난한 어부들의 음식이었다니!그런데 어쩐지 피시앤칩스는 빈자의 음식이었다는 것이 납득이 갔다. 누가봐도 한 끼 식사로는 뭔가 부족해 보였나보다.

1, 2권을 이은 3권도 역시나 잡학상식이 넓어진다. 역사, 지리, 경제, 문화, 세계사까지 흥미로운 이야기로 가득 채워져있다.
특히 기억에 남는건 중국의 축구와 동남아 이해하기 파트다. 동남아로 여행은 많이들 가는데 막상 역사에 대해서는 아는바가 없었던 것 같다. 미얀마, 베트남, 태국의 지리적 문화적 관계를 알 수 있다. 개성이 뚜렷한 세 나라의 앞으로의 행보도 눈여겨 보게 될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많이 한 생각은 '어!나도 이거 이상하다고 생각했는데!'
'아 맞아 그렇던데 왜 나는 찾아볼 생각을 안했을까?'이다. 무언가를 보고, 의문이 생기면 그냥 넘어가지 말고 메모하고 기록하고 찾아보고 지적 호기심을 그냥 둥둥 떠내려보내지 말아야겠다!

#독서 #독서일기 #상식 #교양 #책 #책리뷰 #책소개 #서평단 #책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