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망은 교만입니다


루이제 린저(Luise Rinser, 1911-2002)가 지은 “유리반지
(Die Gläsernen Ringe, 잔잔한 가슴에 파문이 일 때)”는
맑은 예지와 비단결 같은 멋진 필체로 한
소녀의 성장과정을 그린 작품입니다.





주인공은 1차 대전으로 아버지가 전쟁터로 끌려가자
성 게오르크 수도원으로 들어갑니다.
어느 날, 그녀는 한 사내를 알게 되면서 바깥 생활을
동경하고 이성에 눈뜹니다. 수도원에서는 그녀의 행동을
잡아주려고 얌전한 테레제를 붙여주지만 그녀는 주문을 외워
귀찮은 테레제를 죽게 합니다. 심한 자책감으로 그녀는
수도원 샘을 찾아 돌을 던져 파문을 일으키지만
샘은 상처입지 않음을 깨닫고 돌담에 기대 흐느껴 웁니다.

그 뒤 그녀는 여러 사귐과 이별의 과정을 겪으며
불가능한 것에 마음 쓰지 않는 법을 배웠고,
전력을 다해 자기 앞에 펼쳐진 현재를 움켜잡고,
일어나야 할 일은 일어나게 내버려두는 법도 배웠습니다.
성숙의 과정에서 그녀는 격정을 못 이긴 친구
코르넬리아의 자살을 겪고, 어른들의 질투로
투명한 우정이 찢어지는 체험도 합니다.

결국 혼자가 된 그녀는 다시 성 게오르크 수도원으로 돌아가
샘에 돌을 던질 때 생기는 파문을 보면서
그 파문의 무늬에도 어떤 법칙이 있음을 깨닫고
인생의 해답을 찾아 고백합니다. “앞으로 내 생애를 이끌 것은
뒤엉키고 어두컴컴한 괴로움에 찬 격정이 아니라
맑고도 냉엄한 정신의 법칙임을 비로소 알게 되었습니다.”
일상에 회의를 느껴 구속된 삶의 굴레에서
무작정 뛰쳐나갔지만 결국 두려움과 슬픔과 막막함을
한없이 느끼고 나서야 인생을 바로 이끄는 것은
격정이 아님을 깨달은 것입니다.





삶은 깨지기 쉬운 유리반지와 같습니다.
그래서 뜨거운 가슴과 함께 냉철한 머리도 필요합니다.
때로는 돌진보다 중지가 낫고, 웅변보다 침묵이 낫습니다.
계획을 잠깐 접고, 조급하고 초조한 손을 멈추고,
감정을 뒤편으로 돌리고, 뒤엉클어진 인생을
새롭게 하려고 중지와 침묵의 이중창을 부를 때
뿌리 깊은 성장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