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담가인 우쓰미 케이코씨의
아버지가 입버릇처럼 하는 말이 재미있다.
"내가 웃으면 거울이 웃는다"였다.
우쓰미씨는 이 말을 좋아해서,
자신의 좌우명으로 삼고 있다고 한다.
나도 나만의 격언을 가지고 있다.
"거울은 먼저 웃지 않는다"
언제 어디서나 먼저 웃음을 보이는 삶을
살고 싶다고 나 자신을 타이른다.


- 가네히라 케노스케의 <거울은 먼저 웃지 않는다> 중에서 -

 

 

 




* 누군가의 해맑은 웃음을 보면 저절로 기분이 좋아집니다.
그러나 남의 웃음을 기다릴 것이 없습니다. 오늘부터는
내가 먼저 좋은 웃음, 좋은 느낌을 누군가에게
전하는 날로 만들어 보는 건 어떨런지요.

 




봄은 늘 변덕이 심하다.
두터운 옷들을 벗게 해놓고 나서, 느닷없이
덜덜 떨게 하기도 하고, 썰렁하게도 한다. 그래서
철없는 식물들은, 천재이거나 아니면 세상을 못 믿는
약삭빠른 사람들처럼 재빠르게 잎보다 먼저 대뜸
꽃을 피웠다가, 활짝 필 겨를도 없이
당해서 스러지기도 한다.


- 강운구의 《시간의 빛》중에서


 

 

 

 

 

주변에
나를 귀찮게 하고
괴롭히는 사람이 없다면
인내심을 배울 수 없을 것입니다.
나를 성가시게 하는 사람들,
나에게 도움이 되지 않고 해로운 행동을 하는 사람들,
나를 아프게 하는 사람들은 원한의 대상이 아니라
감사를 보내야 할 대상입니다. 이런 사람들은
영적인 근육을 강하게 만들어주는 사람들이며
이해와 인내를 훈련할 기회를 주는 스승입니다.


- 텐진 빠모의 《마음공부》중에서 -


 

 

 

 

 

 

누구를 가장 먼저 사랑해야 합니까?
그것은 다른 그 누구도 아닌
나 자신부터입니다.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가장 먼저 관계 맺는 사람은
세상의 다른 어느 누구도 아닌,
바로 자기 자신입니다.

멀리서부터 어렵사리 사랑을 주어야 할 필요도 없습니다.
누군가에게 사랑을 주었다가 상처 받을까
두려워 할 필요도 없습니다.
가장 먼저 사랑이 필요한 것은 바로
나 자신이기 때문입니다.
가장 먼저 사랑을 줄 수 있는 것도 바로
나 자신이기 때문입니다.

자신을 향한 사랑이 넘쳐 날 때 그제서야 비로소
타인을 향한 여유와 배려가 생겨납니다.
그제서야 우리는 다른 누군가를 진정으로 사랑할 수 있게 됩니다.
내게 없는 사랑을 스스로 충족시킬 수 없으니 옆에 있는 누군가를 붙잡고
어서 내어 놓으라고 떼쓰고 빼앗고 울고 성질 부리기를 그치고
내 안에 넉넉해진 사랑이 넘쳐 나와 다른 이들에게 넉넉한 사랑을
나누어 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무언가 관계에 문제가 생긴다면 반드시 기억하세요.
관계의 본질이란 다른 그 무엇도 아닌 사랑이라는 것을요.
우리가 세상에 온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도 사랑이라는 것을요.
지금 바로 가슴에 손을 얹고 느껴보세요.
당신이 지금까지 가장 큰 사랑을 느꼈던 그리 크지 않다 하더라도
가슴이 따뜻해짐을 느꼈던 그 순간을 떠올릴 수 있겠습니까?

나를 향한 사랑도
연인을 위한 사랑도
세상을 향한 사랑도
바로 이 작은 사랑의 불씨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랍니다.
나를 사랑한다는 것은
모든 치유의 시작입니다.
모든 사랑의 시작입니다.


전용석, 아주 특별한 성공의 지혜 中

 

 

 

 

 

 


 
 '단단히 붙잡되,  가볍게 놔줘라 (hold on tightly,  let go lightly)' 것은  생산성과 내적 평화 사이에서 최고의 균형을 얻을 수 있는 모토가 된다. '붙잡는' 것은   당신이 열심히 일하고 끝까지 계속하며, 최선을  다해 노력하고 인내하면서, 당신이 추구하는 목표를 절대로 포기하지 않겠다는 것을 암시한다. '가볍게 놔준다'라는 말에는 그러나 너무 오래 매달리지는 않을 것이며, 그만두어야 할 때라면 깨끗이 포기한다는  뜻이 들어 있다. 단단히  붙잡되, 가볍게 놔준다는 의미에서 성공의 매우 중요한 두가지 측면인 목표달성과 만족의 기쁨이 포함된다.

  육아에서 그 멋진 예를 찾을  수 있다. 부모들은 자녀가 어릴 때는 단단히 붙잡아주고 싶어한다.  우리는 그 아이를 보호하고,  여러 가지 경험을 접하게 해주려고 열심히 노력한다.  우리는 그 아이의 안전을 지키고 도덕적으로 바르게 자라도록 인도한다.  그 아이를 가장 좋은 방향으로 인도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일을  한다. 그러나 마침내 옆으로 비켜서서 그 아이로 하여금 자신의 인생을 살게 하기 위해 '놔주어야'할 시기가 온다. 놔준다는 것은 자녀에  대한 사랑을 끝내자는 것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 사실 놔주는 것은 가장 깊은 자식 사랑의 표현가운데 하나다.

  비즈니스는 물론이고 모든 형태의 경쟁에서 같은 원리가 적용된다. 우리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일이라면 최선을 다해 해야 할 대가 있다. 최대한 노력해 협상을 하고 최고의 이익을 위해 일하는 등 마치 우리의 인생이 그 일에 달려 있는 것처럼 노력을  경주해야 할 때가 있다.

성공하기 위해 할수 있는 모든 노력을 기울인다. 그러나 계절은 바뀌게 마련이다. 필연적으로 찾아들게 되있는 것이 변화다.  게임에서 이겼든 졌든 간에, 우리는 그 때를 맞이해야 한다. 아마 게임을 너무 오래 했을지도 모른다.   아마 환경이나 생활 자체가 우리보다  앞서갔거나 우리의 관심사가 예전과 달라졌는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이젠  놔줘야 할 때다.

깨끗하게, 앞을 내다보고 놓아줄 수 있다면 여전히 평온한 마음을 잃지 않으며, 경험을 성장의 발판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꼭 쥐었던 주먹을 펼 때처럼 편안하고 힘이 솟는 것을 느끼게 된다. 안녕이라고 말해야 할 시기가 왔을 때, 또는 변화를 주어야 할 시기가 왔을 때  기꺼이 그렇게 하라. 언제나 꿈을 향해 나가도록 해줄 것이다. 뒤를 돌아보지 않고 다음의 큰 모험에 집중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 리처드 칼슨의 [걱정하지 말고 돈을 벌어라]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