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광귀신 국시꼬랭이 동네 5
한병호 그림, 이춘희 글, 임재해 감수 / 사파리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국시꼬랭이의 다섯번째 이야기예요.

저자께서 안동분이라서 그런지 몰라도 나의 고향도 안동과 가까운 대구라서 그런가봐요.

어릴적 할머니께서 설날 밤에는 야광귀신이 내려 와서 신발을 훔쳐가는데 신발은 복이래요. 그런데 신발을 잃어버리면 아프고 돈도 잃어버리고 복이 나가고, 우한이 생긴다고 늘 할머니께서는 신발을 감추어라고 하셨어요.

설날전에는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된다고 하셨고, 복조리를 사서 ㅊ마루에 걸어두시고, 일년내내 복이 들어오신다고 하셨어요 .

이 책에서도 설날 세배를 마친 은실이와 태동이의 신발을 훔치려고 야광귀신 키다리와 큰눈이 가 왔어요.

호박에 구멍을 내어 구멍을 세는 연습까지 했지만, 키다리는 숫자를 잘몰라 엉터리로 세고 큰눈이는 눈이 잘보이지 않아서 구멍을 잘보지 못하고, 둘은 싸우고 뿔뿔이 가버렸어요.

태동이네 집에도 체를 걸어두고, 은실이는 곳간에 신발을 감추고 체를 걸어두었어요.

캄캄한 밤이 되자, 키다리와 큰눈이는 마을로 내려왓어요. 키다리는 자루를 둘러메고 태동이네 집으로 갔어요. 머리위에 체가 두개나 떨어지고, 숫자를 뒤죽박죽.. 큰눈이는 은실이 집 곳간앞에서 잘보이지 않아서 쩔쩔매고..키다리가 큰눈이를 찾아왔어요..둘이 힘을 합쳐서 키다리는 구멍을 찾고 큰눈이는 숫자를 세기로 하고 큰눈이가 키다리의 .등에 달랑 업혔어요.

바로 그때, 꼬끼오꼬끼오 장닭의 힘차게 울음소리가 들렸어요. 아이고 이게 무슨 소리야. 키다리와 큰눈이는 체를 집어던지고 허둥지둥 달아났어요.

우리들의 문화 하나를 또 알게 되고 생각나게 되었다.

늘 국시꼬랭이의 책을 보고 있으면 계속 쭈욱 열심히 잃어버린 자투리문화를 발견하고 책으로 엮어 나왓으면 하고 바래어 봅니다.

가끔 아이들에게 옛날에 엄마는 이랬는데 이야기해도 시근퉁 하더니 국시꼬랭이의 책을 읽어주면 나를 믿어주는 듯 하다.

옛날에 진짜로 이랬어 엄마하고 물어오면, 옛날에 나를 앉히고 들려주시던 할머니의 모습을 생각해봅니다.

옛날에 이야기를 듣던 내가 할머니가 되어 오늘도 열심히 국시꼬랭이의 이야기 한자리를 들려줍니다.

우리의 문화를 알고 우리의 정서를 알고 세계속으로 나아갈때면 보다 더 큰 아이들이 되리라 믿어며 오늘도 열심히 한권의 책을 읽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