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 모험
이진경 지음 / 푸른숲 / 200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제1부는, 각기 다른 시대의 인물인 장자, 데카르트와 스피노자 그리고 사르트르가 한꺼번에 염라국의 검찰청으로 소환되어 토론을 벌인다는 설정으로 시작되고 있다.


또한 데카르트의 이성주의에 반발해 시작된 영국의 경험주의 철학을 검토하고 있는 제2부에서는 아예 고대 그리스의 유명한 우화작가인 이솝을 주인공으로 등장시키고 있다. 17세기 영국에서 다시 태어난 이솝은 자신의 오랜 꿈인 '우화철학'을 정립하기 위하여 당대의 유명한 경험주의 철학자들을 차례로 찾아다니며 우화와 비유로써 논쟁을 벌인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널리 알려진 우화나 비유가 순식간에 깊은 철학적 의미를 지닌 담론으로 바뀌는 것을 목격하게 된다.

이외에도 칸트의 철학 개념인 '선험적 인식'을 설명하기 위해서 동화 <백설공주>를, 헤겔의 '목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영화 <터미네이터>를 차용하는 등 철학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프롤로그와 에필로그를 제외한 책의 본문 전체가 철학자들과 논쟁하고 대화를 주고받은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칸트, 헤겔, 포이어바흐, 마르크스를 차례로 방문하는 가상의 인물에 의해서 매개되는 논쟁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가 철학자들과 주고받는 대화를 통해서 이 네 철학자들이 어느 지점에서 서로 갈라지는지를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고, 독일 철학의 복잡한 지도를 비교적 선명하게 그려낼 수 있게 된다.

근대철학을 매듭짓고 현대철학을 향해 길을 연 선구자들을 다루고 있는 제4부는 스티븐슨의 유명한 소설 <지킬 박사와 하이드씨>의 이야기를 골격으로 하여 '과연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묻고 있는데, 철학을 배우는 데 있어서 논쟁과 대화체의 이점이 보다 선명하고 확실하게 드러나고 있다.

지킬 박사가 죽기 전에 그의 비밀을 알게 된 친구 어타슨 변호사가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 훗설과 프로이트 및 니체를 찾아가 자문을 구한다는 내용인데, 각기 다른 조언을 해주고 있는 세 철학자들의 대답에서 그들의 철학이 아주 선명하게 구분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저자가 말하는 철학에 관한 책에서 배워야 할 핵심은 '철학하기'이며, 그것은 '자명한 것을 의심하고 당연시된 것에 질문을 던짐으로써 그것에 대해 자기 머리로 사고하는 것'이라고 분명하게 선언하게 있다. 아니 사고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실천으로까지 나아가야 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철학하기', 그것은 일단 당연시된 세계, 자명한 판단에 의문을 던지는 데서 시작한다. 의심하고 비판하는 활동은 단지 사고하는 것에 머물지 않으며 오히려 철저하게 나아가며 실천되어야 한다. 요컨대 '철학하기'는 자명한 것을 의심하고 질문하는 특수한 실천이다. (391쪽)

철학은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는 조금은 철학하기를 배울수 있을 것 같다.

저자 나름대로 철학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놓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