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의사의 아름다운 동행 2 시골의사의 아름다운 동행
박경철 지음 / 리더스북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시골의사의 아름다운 동행 두번째 이야기이다.

이번 책은 작가의 주변이야기와 자신의 자전적 이야기이다.

읽으면 읽을수록 우리 주변의 따뜻한 삶이 새록새록 펴져나온다.

있는 그대로 주면의 삶들을 그대로 옮겨다 놓은 작가의 이야기가 재미있기도 하고 한편의 감동이 전해 오는 듯하다.

일전에 본 영화 안녕 형아처럼 잔잔한 감동이 밀려온다.

우리의 삶들이 우리들의 주변분들이 소재가 된 책들과 영화가 요즈음 나의 마음에 잔잔한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함을 일깨워 주는 듯하다.

그래 삶은 이런거야...

나는 진짜 행복합니다. 편에 보면..

이장댁 아주머니의 말씀 "원장님요. 사람들은 죽어서 천당엘 갈라꼬 애들을 많이 쓰지예. 하지만 살아서 천당을 만들지 못하면 죽어서 천당은 없답니다. 그저 오늘이, 여기가 천당이거니 하고 살아야 안 되겠능교. 원장님은 내가 이 이야기를 하면서 웃으니까 이상하지요? 저 할망구 돌았나 싶지요? 그런데 나는 진짜 행복합니더. 내가 무엇이든 할수 있다는 기 삼사하고, 내가 그 감사함을 느낄수 있는기 또 감사하고, 내 자식 남의 자식 칼거 없이 내 곁에서 돌볼수 있어 감사하고.. 그래서 노상 웃고 다니지예. 안 웃을라꼬 해도 너무 좋아서 자꾸 웃어지지예."

사람이 산다는 것을 희망과 절망이라는 것을 어떻게 생각합니까? 우리는 서로 얼마나 사랑하고 있습니까?라고 쓰 놓은 작가의 말에 어떻게 답해야 할까를 진지하게 생각해 보아야겠다.

그래 아주머니의 말씀대로 삶이 즐겁고 희망적이고 행복하다고 생각하면 그런 삶을 살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아주머니처럼 남을 도와주고 남의 자식도 시집안간 딸의 호적에 손자로 올려 놓지는 못할지라도, 우리 나름대로 이웃과 오손도손 즐겁게 대화하며 희망차고 행복하게 살면 우리의 인생이 즐겁고 재미나고 행복하다고 느끼게 될것이다.

많은 걸 이 한권의 책으로 느낀다.  이 시가 생각난다.

 

우리는 약간의 이익 때문에 너무 많은 것을 잃어버렸다.

행복한 삶이란 나 이외의 것들에게

따스한 눈길을 보내는 것이다.

우리가 바라보는 밤하늘의 별은

식어 버린 불꽃이나 어둠 속에 응고된 돌멩이가 아니다.


별을 별로 바라 볼 수 있을 때,

발에 채인 돌멩이의 아픔을 어루만져 줄 수 있을 때,

자신이 잃어버린 것이 무엇인지 깨달았을 때,

비로소 행복은 시작된다.


사소한 행복이 우리의 삶을 아름답게 만든다.

몇 푼의 돈 때문에

우리가 누릴 수 있는 작은 행복들을 버리는 것은

불행을 향해 달려가는 것과 같다.

하루 한 시간의 행복과 바꿀 수 있는 것은

이 세상에 아무것도 없다.


이용범의 '무소유의 행복' 중에서

값진 감동과 이야기와 느낌을 받고 나도 행복하다고 말할수 있는 삶을 살아야 되겟다고 생각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