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를 위한 생각수업 - 뒤집어보고, 비틀어보고, 깨트려보는
이주현 지음 / 북포스 / 2017년 4월
평점 :
품절


뒤집어보고, 비틀어보고, 깨트려보는

내 아이를 위한 생각수업



'생각'이 중요함을 살아가면서 많이 느끼게 됩니다.

그런데 저도 그렇지만 생각을 표현하는것이 쉽지 않음을 느낍니다.

그러면서 내 아이가 생각을 표현하지 못할때 답답함을 느끼며 재촉을 많이 했더라고요.

이 책을 보면서 내 자신이 스스로 반성해보게 되었답니다.


저자는 생각이 살아 있는 아이들이 대한민국의 미래이고,

생각이 살아 있는 교육이 대한민국의 미래라고 말합니다.

저도 격하게 공감해요.


생각하는것을 힘들어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즐기면서 할 수 있고

그것을 말이나 글로 표현하면서 자신의 삶을

부모의 개입에 의해서 좌지우지하는것이 아닌

스스로 찾아가는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이 책은 내 아이에 대해 들여다보고 어떻게 생각하는 힘을 키울수있는지

방법도 알려주고 있습니다.


내 아이에 대해 들여다보고 다르게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기 위한

대화법이나 생각하는 힘을 키워주는 7가지 공식도 알 수 있습니다.

더불어 생각하는 힘을 키워주는 글쓰기와 계속적으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는 환경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답니다.


저는 저자가 큰아이 돌무렵에 썼던 시가 너무 좋아 바로 아이들에게 낭독해주었답니다.

저도 아이들이 어릴때는 그저 바라는것없고 밝고 지혜롭고 건강하게 자라기를 바랐었는데

아이들이 커가면서 제 스스로 욕심이 많이 생긴것 같아요.

그래서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기보다 내 생각을 강요한적이 많았던것 같습니다.


창의적인 아이는 정답을 찾지 않는다고합니다.

정답을 바로 바로 찾는 교육에 익숙해져있는것 같아요.

그저 스스로 생각하는 과정에서 기쁨이 가득하다면

삶이 더 윤택하고 행복감이 많이 들것 같습니다.


생각의 힘이 부족하면 자신감 또한 부족하다고해요.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지 못하고 다른사람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는것이지요.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고 실패를 당당하게 이야기 하는 사회 환경이 만들어져야할것 같아요.

실패의 경험으로 많은것을 배우고 성장하기 때문이지요.

실패를 통해서 실패의 면연력을 기르도록 해줘야한다는것이지요.


부모들은 아이들이 생각에 집중하고 있을때를 잘 지켜보아야한대요.

몰입하고 있을때 방해하지 말고 기다려주고

그것을 실행하려고 말할때 잘 들어주면서

아이가 스스로 행복하게 만들어야한다는거예요.

그러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때

격려하고 응원하는것이 필요할거예요.


저는 이렇게 아이들이 생각하는 힘을 키우기 위해서 부모는

어떤 대화법을 해야하는지가 제일 궁금했답니다.

거의 아이들과 대화가 숙제,공부이야기를 하게되고

재미있는 대화가 안되는게 안타까웠거든요.

부모는 아이들과 대화가 재미있는 줄다리기가 되어야 한다고합니다.

아이의 생각에 '격하게'반응해주고 엄마의 생각도 공유하고

아이가 하는 생각에 재미있는 생각을 추임새로 넣어주고

감사의 대화를 하라고 합니다.

 


생각을 글쓰기로 까지 확대하는 방법을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알려줍니다.

글쓰기가 필기가 아님을 명심하고 자신의 생각을 글로 만들어 가는

과정이 즐겁고 자신과 만나는 시간이 될 수 있도록 하면 더 큰 생각을 하고

세상과 소통하는 아이로 자라게 될것 같아요.

아이에 대한 긍정적 생각과 기다림 또한 엄마가 행복해야 아이들도

행복할 수 있음을 알고 아이들과 좋은 관계를 가지도록 끊임없이 노력해야할것 같아요.


'생각하는 아이가 행복하다''생각하는 힘이 경쟁력이다'

모든 아이들이 생각하는 멋진 아이로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가고 나아가

멋진 리더로 자라기를 바래보면서 지금부터라도 책에서 나온 방법을

곱씹어 보면서 적용해보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