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에 숨겨진 경제학자들 - 역사와 경제를 넘나드는 유쾌한 지식 수다
최태성.박정호 지음 / 탐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와 경제를 넘나드는 유쾌한 지식수다

한국사에 숨겨진 경제학자들

최태성,박정호 지음 / 탐



최태성 선생님은 역사저널 '그날'의 프로그램에 패널로 활동중이시고

워낙 한국사를 잘 가르친다고 소문난 분으로 알고 있던차라

더욱 반가운 마음에 책을 보게 되었답니다.

박정호님은 KDI전문연구원으로 경영학을 공부하셨고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일반인들에게도 경제강의를 하고 있으시대요.

우리 학국사에 숨겨진 경제학자들을 만나볼 수 있는 책이예요.

한국사와 역사가 만났네요.

경제학자하면 애덤 스미스나 케인즈등서양을 떠올리게되는데

한국사에도 경제학자들이 있었음을 새롭게 알려주는군요.

두분이서 재미있게 수다를 떨면서 서양과 한국사속에 경제학자들을

비교대조해보면서 역사적 설명과 함께 경제학점관점으로 유익하게 이야기를 풀어간답니다.


총 10명의 역사속 인물들이 나옵니다.

정약용, 국가의 부를 이야기하다

박제가, 소비의 우물을 발견하다

허생, 독과점을 재정의하다

광해, 조세의 역할을 뒤엎다

세종, 한계효용을 거스르다

정도전,국가의 개입을 말하다

문익점, 기술에 경제학을 입히다

최승로, '시무28조'에 담긴 정보경제학

장보고, 자유무역의 화신이 되다

단군, 경제학의 시초가 되다


조선시대부터 고조선에 이르기까지 역순서로 구성 하였네요.


경제쪽은 어려울줄 알았는데 두분이서 이야기를 잘 풀어가고

쉽게 설명해주니까 어렵지 않더라고요.

관점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볼 수 있음을 느끼게되네요.

한국사속의 경제도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인물들의 살았던 시대와 그의 생애를 엿볼 수 있고 전체적인 내용의 간략한 소개와함께

알아봐야 할 주제를 짚어주고 본격적인 이야기로 들어가게 되지요.


 

정약용과 애덤스미스는 분업이라는 공통된 방법으로 생산성을 향샹시킬 수 있다는 방법을 내놓았지요.

그러나 경제학을 논의하는 주어로서 정약용은 국가, 애덤 스미스는 개인으로 본것이 큰 차이점으로 볼 수 있네요.

삽화와 여기서 잠깐 코너로 정보를 더 알 수 있답니다.

여기서 잠깐 코너는 황토색바탕에 흰글씨체라서가독성이 조금은 떨어지긴 하는것 같아요.

 


대화(토크)형식으로 귀요미 캐릭터도 보이네요.

중요한 경제적용어나 역사용어도 매우 친절하게 설명해주고 있어요.

그냥 시험대비로 외울때는 시험이 끝나면 다 잊어버렸는데 두분의 대화속에

한국사와 경제이야기는 머리에도 쏙쏙 들어오고 기억도 잘 되더라고요.


문익점의 목화씨는 산업뿐 아니라 백성들의 생활을 바꿔놓은 한국사 사상 최고의

혁신중 하나였다고 합니다.  지금도 문익점이 목화씨를 어디에 숨겨왔는지는

의견이 분분하다고하네요. 중요한것은 그 당시 목화는 원나라에서 전매한 국가의

대표적인 수익산업이라 우리 나라에서는 전량 수입을 했어야했어요.

그래서 원나라의 부를 키워주는 목화씨에 대한 국가적 관리가 있었고요.

문익점은 1개만 가져온것이 아니라 실패할 경우를 생각하여 10개를 가져온거지요.

그중 한개가 성공을 하였고 문익점으로 인해 자체생산이 가능해진거지요.

민생의 경제적 부가가치를 높이고 삶을 윤택하게 만든 나눔의 경제학을 실천하신 분이랍니다.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생산'이 일어났고 소비가 일어나면서

문익점의 씨앗으로 경제적 부가가치가 일어났고 더 나아가 옷을 만드는 기계를 만드는데

공을 세우게 됩니다. 목화씨 하나가 나비효과처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굉장하네요.

그래서 씨앗이나 종자를 보관하고 철저히 관리하나봅니다.

지금은 지식분야를 경제와 결부시켜 기술경제학 혹인 환경경제학이라는

연구분야기 생겼답고 합니다. 목화씨는 지금의 스마트폰으로 봐도 무방하대요.

목화씨나 스마트폰이나 그것하나가 삶의 환경을 많이 바꾸어놓았기때문예요.

이처럼 문익점을 통하여는 지식재산권,승수효과,특허이야기등 재미있게 경제지식을 알게되요.


이처럼 한국사에 숨어있는 경제원리를 찾아보니 경제가 어렵게 다가오지도 않고

새로운것을 알게되면서 경제도 재미있고 우리 조상들이 경제학자로

전혀 손색이 없음도 보게되었답니다. 알면 알수록 재미있는 한국사와 경제의

융합이야기가 있는 즐겁고 유쾌한 지식수다 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