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중숙 교수의 과학 뜀틀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우수출판콘텐츠 당선작, 수학, 물리, 생물, 화학, 지구과학 공부가 한눈에 잡힌다!
고중숙 지음 / 궁리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중숙 교수의

과학 뜀틀

고중숙지음 / 궁리

수학,물리,생물,화학,지구과학 공부가 한눈에 잡힌다!



많은 과학도서들이 재미있게 접근하려고 애쓰다보니 수박 겉핧기 식으로 내용의 깊이보다

호기심을 자극하는 요소들이 많은것 같아요.

과학이라는 학문이 어렵고 복잡하고 힘들게 느껴지기 때문에 그런것을 타파하기위한

노력중의 하나가 재미일것이란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그런 요소들이 많은거겠죠.

그러나 과학은 재미만으로는 한계가 있는듯해요.


과학을 좋아하는 우리 첫째는 융합과학자를 꿈꾸고 있습니다. 한가지 학문만이 아니라

물리,화학,예술등 다양한 영역들을 융합하는 과학자가 꿈이랍니다.

그런 의미에서 [고중숙 교수의 과학 뜀틀]은 우리 아이에게 적절한 책인듯합니다.

과학에 관심이 있거나 과학을 잘 모르더라도 청소년들이 읽기에 유익한 책인것 같습니다.


고중숙 교수님도 많은 고민끝에 재미와 과학의 깊이를 동시에 잡으려고

애쓰신분같아요. 각각의 영역들의 지식들을 모아서 틀을 만들고

그것을 바탕으로 더욱 깊이 있는 과학공부자 되고자 노력하시고

학생들이 이 책을 통해 재미있고 유익한 과학생활로 힘차게 도약하라는 의미로

책 제목도 과학뜀뜰로 정하셨대요.


총 6부로 구성되어 있어요.

제1부 과학을 왜 하나요?

제2부 과학의 지형도를 찾아서

제3부 세상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나요?(자연의 구성)

제4부 세상은 어떻게 움직이나요?(자연의 운행)

제5부 과학의 치전선을 가다(단위는 측정의 기틀)

제6부 과학 전망대에서 보다(분류와 역사)


청소년들이 이해하기 쉽게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설명하고 있네요.

삽화나 사진자료도 많이 실려있어 글로만 읽는것보다

이미지화시켜 기억하기에도 좋은것같아요.

 


과학은 아직도 수많은 난제들이 수북히 쌓여있습니다.

청소년기의 여드름이란 고민거리를 통해 과학의 필요성을 설명하면서 이야기를 풀어갑니다.

과학의 어원에 대해서도 알게되었는데 재미있었던것은

과학이라는 용어가 일본의 철학자에 의해 사용하게 되었다는거예요.

그러나 아쉽게도 원어'사이언스'에는 미치지 못한다고 하네요.

지금 과학이라는 용어를 바꿀수는 없지만 원어의 의미로 확장하여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있대요.

어원인 '스키엔티아'는 단순한 측정보다 휠씬 심오하고 광법위한

 '앎의 총제적 작용'을 뜻합니다.

즉, 삶에 충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 의문의 제기,해결의 실마리 포착,

가설의 설정, 실험의 고안,

개념과 관념과 명제의 창안, 논리적 서술과 증명, 타분야에싀 응용과 확산 등등이 포함됩니다.


과학은 수학,물리,화학,생물이란 본관과 지구과학의별관으로 이루어져있고

서로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건물주위로는 공학,의학,농학등의 응용분야가 있고

또 그 주변에는 인문,사회,예술분야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래서 포괄적으로 주변까지 모두 포함하여 생각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과학연대표와 지형도연표가 있어 중요한것들을 정리해주고 있어

이것을 기본으로 살을 붙여가면 좋을것 같아요. 


많은 과학자들의 이야기도 흥미로웠고 고중숙교수님의 부연설명까지

들으니 더 재미를 더해주네요.

세상이 어떤 것들로 만들어졌는지 우주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고

과학의 정역학과 동역학이라는 분야를 알게되네요.

이 부분은 학교다닐때 교과서에서 많이 보고 외웠던 기억이 납니다.


한가지 인상깊었던 점은 단위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한건대요.

과학에 있어 단위는 측정의 결과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므로 중요하대요.

처음단위로 시작하여 어떻게 통일되었는지 과정도 알게되고

처음단위가 미터법인데 영국과 미국은 프랑스와의 반감때문에

미터법을 잘 사용하지 않아 지금까지도 전세계에 많은 불편을 끼치고 있다고하네요.

7대 기본단위가 각 물리량 한 단위의 정의까지 잘 정리되어 있어요.

이는 과학의 기본이고 과학의 최전선이라고 말하고 기본적 이해를 돕고자 상세한

설명을 해주고 있어요. 약간 어렵게 느껴지기도 하는데 학생들은

계속 배우게 되므로 이 책을 읽고 학교에서 배우게 되면 이해가 잘 될것같네요.


넒은 과학과 좁은 과학을 살펴보고 실예로 대학교에서 넒은과학의 전체를 포괄하는

학문의 총체로 보면되고 단과대학은 세부적으로 성격이 비슷한

학문들의 집합으로 분류되어 놓은

교수님께서 나름정리하신 표도 나오네요.


저자는 과학 이외의 다른 분야에 진출하더라고 과학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가지라는겁니다.

음악에서 하나의 음을 낼때에도 과학을 알면 더 잘 낼 수 잇고

미술에서 하나의 선을 그를때도 운동에서 하나의 동작을 할때에도

과학을 알면 더 잘 해낼 수 있다는 겁니다.

과학적 소양의 토대위에 다른것을 쌓는다면 더 훌륭한 성과를 거둘거라 합니다.

이렇게 큰 자산이 될 수 있는것이 과학이라고 말합니다.


과학을 좁은과학으로만 생각하지 말고 모든것을 아우르는 총제적인

 '앎'의 시각으로 바라봐야할것같아요.

여러 학문들의 경계를 넘나들고 공감되는 부분에 협력하고 융합하면서

조화를 이뤄나가는것이 더욱 더 필요한것 같습니다.

각각의 학문만을 고수하여 소통이 안되는것이 아니라

통합적이고 융합적인 과학으로 더 좋은 소통이 이루어지는 그래서 인류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과학의 발전을 생각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