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세 살, 불안해도 괜찮아 사춘기 어린이를 위한 심리 포토 에세이
장희정.송은하 지음, 김예슬 그림, 정주연 사진 / 위즈덤하우스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춘기 어린이를 위한 심리 포토 에세이

열세 살, 불안해도 괜찮아

장희정,송은하 글 / 김예슬 그림/ 정주연 사진



 첫째는 이제 15살이 되고 둘째가 13살이 되어요. 첫째가 먼저 사춘기를 거쳤는데 아이도 부모인 저도 많이

힘들었었거든요. 이제 둘째인데 우리 아이처럼 사춘기 어린이를 위한 마음을 감싸주는 심리포토에세이책을 보았어요.

" 열세 살, 불안해도 괜찮아"라는 제목으로 제목부터가 위로가 되고 격려가 되네요.


작가는 말합니다. 불안은 바로 네가 성장하고 있다는 명백한 신호이자 증거라고. 불안도 사계절이 반복되듯

작고 큰것이 반복되고 시기에 따라도 그렇다고해요. 작가님의 응원과 격려의 메세지가 담긴 에세이책으로

우리 아이들의 마음을 어루만지면 좋을듯해요.


3월 두려움과 설렘사이 : 시작은 언제나 두려움-민서

                               나도 달라질 수 있을까?-은성

5월 시험 성적이 인생 성적일까: : 바보 증명서, 시험-민서

                                언제쯤 시험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지호

7월 어른도 아이도 아닌 나 : 나도 이제 다 컸다고!-민서

                               엄마도 아빠도 내 마음을 몰라-민서

9월 나보다 잘난 너희 : 모두가 잘난 세상-민서

                               지긋지긋한 모범생 노릇-민준

11월 나를 보는 수많은 눈빛들 : 모두 내 얼굴만 봐-민서

                               거울 속에는 언제나 멋진 나-영재

1월 불안한 건 당연해 : 미래를 볼 수 있다면-민서

                               나를 성장시키는 불안-민서 


저마다의 고민과 불안을 느끼는 열세살 아이들의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포토와 함께 아이들의 생활과 속마음까지 알수 있으니 바로 자신의 이야기처럼 흡인력이 높아서 금방 읽네요.


그중에 5월에 해당하는 학생이라면 민감한 주제인 시험성적에 대한 이야기예요.

시험을 대하는 아이들의 담답한 심정을 느낄 수 있었어요. 시험 걱정없이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시험성적이 좋아서 공부를 잘 해야 친구가 있을것같고 공부를 못하면 선생님이나 부모님이 실망할까봐 두렵고

시험이 얼른 끝나기를 바라는 아이들을 만나보며 저도 그때를 겪었던 터라 매우 안타까웠답니다.



7월달에 해당하는 엄마도 아빠도 내 마음을 몰라편에서 아이들은 부모님들이 모두 사춘기라고 단정짓거나

아직까지 아기로 보는 것이 싫은가봅니다. 자신을 믿어주지 않는것 같아 속상하고 때에따라 아기로 다큰애로

취급하는것이 실망스럽고 밉기도 한듯해요. 이런 아이들의 마음을 아니까 저도 반성하게 되더라고요.

 


아이들의 이야기 후에는 사춘기 심리학 멘토링이 나와요. 불안에 대한 반응증상이나 잘 다스리는 방법

나의 시험 불안정도를 체크해보기도 하고 갈등이 많아지는 부모자녀관계도 자세히 알게되었어요.


사춘기에는 타인의 감정을 주로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아서 부모가 무표정한 얼굴을 하고 있으면

부정적으로 해석한대요.슬픈표정을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많아서 부모가 무언가 슬프거나 낙담한 표정을

지으면 자신을 비난하는 거라고 오해하기도 하고 화도 난대요. 이 부분을 읽고나니 아이들이 왜 그렇게

반응했는지 알겠더라고요. 부모들도 읽어보면 아이들도 이해하고 좋을것 같아요.


아이들의 관점으로 쉽게 설명하고 있는 책이고 사춘기를 앞둔 아이나 사춘기인 아이들이 읽으면 도움이 될거예요.

미래와 자기 자신에 대한 불안이 높아지는 시기이고 몸과 마음이 급격히 변화하는 시기인만큼 우리 아이들에게

" 불안해도 괜찮아, 불안한건 당연해, 앞으로 불안을 딛고 성장하여 멋진 사람이 될거야."라는

응원의 한마디가 필요한듯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