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흔적
치하야 아카네 지음, 박귀영 옮김 / 콤마 / 2016년 11월
평점 :
절판
연작소설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과 <연미동 사람들>을 감명깊게 읽었다. 이 소설도 연작소설이다. 고전은 오랜 세월 그 가치가 인정된 데서 오는 안정감이 있다. 반면에 신간은 알 수 없는 미래를 들여다보듯 불안함과 함께 설렘이 있다. 이것이 바로 신간을 읽는 재미다.
연작소설 <흔적>은 화자가 다른 여섯개의 소제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앞의 이야기와 뒤의 이야기는 서로 연결고리가 된다. 각 이야기들은 사랑이라는 테마를 주제로 다루고 있지만 각 화자가 들려주는 사랑은 그 형태와 느낌이 달라서 감동 또한 다르다. 그것은 각 장의 주인공들이 처한 상황이 다른 데서 기인한 것이다.
<불꽃>의 주인공은 결혼을 앞둔 화자인 나와 그남자다. 화자인 나는 동거남과의 결혼식을 앞둔 불안감 때문인지 그 남자와 유희에 빠진다. 그녀의 일탈은 불안을 잠재우려는 욕구와 자유에 대한 희구,그녀 자신도 알 수 없는 이유 때문이다. <손자국>의 주인공은 샐러리맨인 화자인 나와 그남자 구로사키다. 나는 구로사키의 죽음이 남긴 것을 찾으려 한다. <반지>의 주인공은 샐러리맨의 아내다. 그녀는 남편과 아이가 있으면서 연하의 애인과 몰래 사귄다. 그녀의 일탈은 놀이와 애정의 경계를 구분짓기 애매모호하다.<화상>의 주인공은 자살한 남자의 동거인이었던 여자다. 그녀는 사랑이라는 이름이 남긴 상흔을 가지고 있다. 잘못된 사랑에서 온 상흔은 그녀가 진정한 사랑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게 한다. <비늘>의 주인공은 마쓰모토와 후지모리다. 그들은 필요에 의해 동거를 하지만 자신들의 감정을 잘 알지 못한다. 후지모리의 복잡한 사생활과 서로의 생각의 차이는 사랑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많은 질문을 하게 만든다. <음악>의 주인공은 지카게와 수초군이다. 그녀는 세상이 말하는 사랑방식과 애인의 사랑방식에 자신을 억지로 맞추려하다보니 지치게 된다. 수초군과의 만남은 그녀가 진실에 다가서는 계기가 된다.
나는 내게 준다는 것은 뭐든 받아들인다. 친절.돈.선물처럼 내게 좋은 것만 고르는 것은 꼴사나워 섹스,폭력,속박까지 모두 받아들인다. 그것이 내가 사랑하는 방식이다.나를 사랑한 사람은 대체로 내게 상처를 입혔다...꼭 껴안는 것이 사랑이고 껴안아서 생기는 상처가 폭력이라면,사랑과 폭력의 경계는 대체 어디에 있는 걸까? 매한가지 아닐까? (p122)
소설은 사랑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준다. 그래서 어디까지가 진정한 사랑이고, 유희이며, 불륜인지 이해하기 어렵다.사랑이란 감정은 너무 많은 생활모습과 감정뒤에 숨어 있어서 그것이 진정한 사랑인지 깨닫기에는 험난한 과정이 필요하다. 주인공들은 모두 그런 안개 속을 헤메다 사랑이라는 길을 찾아낸다.
여섯개의 이야기를 읽다보면 이해가 안 되는 부분들이 많지만, 소설이니까 그럴수 있겠지 하고 너머간다. 그만큼 불륜과 사랑, 폭력과 사랑, 문화에 따른 사랑에 대한 관념의 차이 등 경계가 모호한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말하지 않아도 깨달을 수 있는 것 또한 사랑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