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우치에 누워서
어빈 D.얄롬 지음, 이혜성 옮김 / 시그마프레스 / 2007년 1월
평점 :
드디어 얄롬의 책을 세권 읽었다. 처음엔 호기심에서, 두 번째엔 기대에서, 세 번째에는 또 다른 감동을 느끼고 싶어서 그의 책을 찾았다. <나는 사랑의 처형자가 되기 싫다>를 읽고 이 책은 그냥 집어들었다. 당연히 재미있으리라. 의심이란 눈꼽만큼도 없었고, 책은 나의 기대를 충족시켜 주었다.
책은 탐정소설 뺨치게 흥미진진하다. 탐정소설보다는 오히려 소설같지 않은 현실감을 느끼면서 읽게 된다. 저자가 정신과 의사이기 때문에 그의 직업인 심리치료에서 오는 자전적인 요소가 많이 반영되었다고 본다. 책은 치료자의 에로틱 전이 문제와 정신과 의사도 사기당 할 수 있다는 일반인의 상식을 깨는 두 개의 큰 주제를 담고 있다.
주인공인 정신치료자 어니스트는 일흔 한 살의 시모어 트로터라는 미국 정신과 학회의 전회장의 서른 두 살의 여자 환자 성추행 사건을 인터뷰하게 된다. 그는 자신의 환자 저스틴이 아내를 떠날 수 있도록 5년 동안이나 상담치료를 해 오고 있다. 그런데 그가 5년동안 성공하지 못했던 것을 저스틴의 새로운 애인이 해낸다. 저스틴의 이혼선언은 그의 아내 캐롤이 어니스트에게 복수를 시도하게 만든다. 캐롤은 저스틴에게 에로틱 전이문제를 야기 시키고, 어니스트가 슈퍼비전을 받았던 마샬은 자신의 전 환자였던 마콘도에게 이중사기를 당하게 된다.
환자가 치료받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쓸데없는 말은 잊어버려요! 환자가 치료받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이 아니라 치료자에게 환자를 치료할 치료법이 준비되지 않은 것이지요. 치료자는 각 환자에게 알맞은 새로운 치료법을 찾아내는 데 철저해야 하고 창의적이어야 해요.(p19)
책은 치료자와 환자 사이에는 언제든지 전이와 역전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특히 얄롬은 치료자의 윤리문제,에로틱 전이문제가 환자에게 파괴적인 결과를 가져다 주고 치료자 역시 망가진다고 말한다. 또한 어니스트는 치료자의 자기개방이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범위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한다.소설에서 마샬이 마콘도라는 소시오패스에게 사기당하는 것을 보면서 치료자의 개방문제는 치료자의 안전과도 직결된다는 것을 을 알 수 있다.
나는 양육문제로 코칭을 자주 받는다. 코칭과 심리치료는 다르지만 비슷한 부분도 많다. 심리치료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들은 코칭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고 본다. 소설에서 어니스트는 내용이 아니라 과정에 초점을 마추어야 하며, 치료자와 환자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말한다. 모든 치료의 성공여부는 관계맺는 방식에서부터 출발하는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