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조 사람혁명 - 상대를 내 사람으로 만드는 힘
신동준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11월
평점 :
품절


 

세상을 살아가는 일은 매일 매일이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는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도 항상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그 문제는 사람으로부터 나오고 사람으로 해결하는 것이 가장 빠르다.기업에서는 문제 해결의 가장 빠른 길이 바로 사람,인맥이다.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람을 쓰는 기술이 용인술(用人術)이다.그런데 IT의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한 현대에 와서야 비로소  2천년전 용인술의 연금술사 조조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지고 있다니,이 얼마나 아이러니한가!  


 
소설 삼국지를 읽고 나는 유비를 좋아하게 되었다.소설 속에서 유비는 자신의 목적을 결코 드러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어리석은 척 하기 때문에 겸손한 인물로 그려진다.거기에 비해 조조는 여색을 밝히는 간사한 인물로 그려진다.그런데 요즘은 유비보다 조조를 리더의 적임자로 재조명하고 있는 추세다.조조의 리더십에서 가장 돋보이는 대목은 득인(得人)과 용인(用人)의 지혜로,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과감한 인재정책이다.  


  
 책은 조조의 리더십을  집액성구 (集腋成裘) ,득의지추 (得意之秋),일궤십기 (一饋十起),걸견폐요(桀犬吠堯),십보방초( 十步芳草),인인성사( 因人成事) ,노마지지(老馬之智 ) ,언청계용(言聽計用 ),계명구도(鷄鳴狗盜),천려일실( 千慮一失),적재적소(適材適所),지우지은(知遇之恩),동상이몽(同床異夢),신상필벌(信賞必罰),대의명분(大義名分)등 15개의 고사성어에 비추어 조목조목 풀어나간다. 
   


저자는 고전을 통해 세상을 보는 눈과 사람의 길을 찾는 고전 연구가이자 평론가이다.현재 21세기 정경연구소 소장으로 ,대학생들에게 동양 3국의 역사와 사상 등을 가르친다.또한 다양한 매체에 꾸준히 칼럼을 게재하고 있다.저서 및 역서로는 <후흑학>,<자치통감 삼국지>,<실록 열국지>,<실록 초한지>,<조선의 왕과 신하,부국강병을 논하다>,<CEO의 삼국지>,<공자와 천하를 논하다>,<인물로 읽는 중국 근대사>등이 있다.  


 
조조가 원했던 다섯 가지 인재상(P72)
첫째,출신이 미천하나 나라를 흥하게 만들 재주를 가진 인물.은나라 때의 개국공신 이윤 등
둘째,비록 적이기는 하나 나라의 패업을 이룰 수 있는 인물.제환공을 춘추 시대의 첫 패자로 만든 관중 등
세째,명성은 높지 않으나 치국의 재주가 출중한 인물.한나라의 건국 공신 소하와 그의 뒤를 이은 조참 등
넷째,오명을 뒤집어쓰고 사람들의 냉소를 받았으나 왕업을 이루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할 만한 인물.한나라의 한신과 진평 등
다섯째,비록 어질지 못하고 불효하지만 용병술에 뛰어난 인물.전국시대의 오기 등.  


  
 책은 왜곡된 역사로 인한 피해를 바로잡기 위한 노력이 엿보인다.조조는 현대의 심리학에서 말하는 중요한 공감의 요소인 경청을 실천하는 인물이었으며,신속하게 결정을 내릴 줄 아는 지혜를 지닌 리더였다.신분이나 혈통,품행조차 문제삼지 않고 오직 실력과 재주만을 기준으로 인재를 등용한 당시로서는 상상도 못한 만큼 획기적이고 실용적인 사고방식 가지고 있었다. 
   


2천년전 인물의 용인술을 보면서,SKY대학을 나와야만 반반한 직장을 구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에 비춰 보면 참 씁쓰름하다.요즘은 기업들이 고졸 채용도 시도하고 있지만,전시행정(展示行政) 되지는 않을까 의심스러운 부분도 있다.현대인의 직장생활은 전쟁터에 비유된다.하지만,조조의 용인술은 실전을 치루기 위해 사용한 것인만큼 그것이 얼마큼 인간적일 수 있을지는 의심스럽다.그래서 많은 시간을 두고 더욱 철저히 연구 되어야 한다.그럼에도 조조의 용인술은 세계화 시대에 걸맞는 부분이 많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