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몰입, 두 번째 이야기 : 인생의 완성도를 높이는 자기 혁명 - Think Harder! ㅣ 몰입
황농문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1년 5월
평점 :
인간이라면 누구나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의 유한성을 피할 수 없다.그래서 우리는 무언가에 열정을 쏟고 행복하길 원한다.하지만 행복은 거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flow몰입>라는 개념을 처음 제시한 칙센트미하이교수는 인생의 행복은 자기가 집중하기로 선택한 대상에 달려있다고 한다.<flow>가 원론적인 큰 틀에서 제시한 몰입이라면,황농문교수의 <thinkharder! 몰입>는 어떻게 해야 건강하고 효과적인 몰입을 할 수 있는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한 몰입에 대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황교수의 <몰입>은 칙센트미하이교수도 인정할만큼 구체적이고 누구나 따라해 볼만하다.
<몰입-첫 번째 이야기>보다 <몰입-두 번째 이야기>는 전편에서 다 하지 못한 이야기를 추가했다.그는 몰입의 효과를 뇌과학적 자료와 근거에 의해서 증명한다.우리 뇌는 반복과 강도의 세기,목표를 설정할 때 집중력이 높아진다.그는 몰입이 불가에서 말하는 삼매경과 같다고 말한다.슬로우 씽킹은 기도나 묵상과 비슷하다.<생각의 탄생>이라는 책을 보면 천재들은 모두 몰입해서 창조성을 발휘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황교수는 “수면과 통찰력과의 관계”에서는 수면과 선잠이 몰입에 상당히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한다.피그말리온효과나 플라세보효과처럼 몰입에 있어서도 자기확신이 미치는 영향은 크다.
몰입적 사고는 CEO나 직장인,수험생,주부등 누구에게나 적용할 수 있다.이번 책은 부록에 <몰입을 활용한 문제해결 방법론>의 사례의 비중을 높였다.부록에는 몰입을 통해서 산업체에서 발생한 문제를 직접 해결한 과정과 결과를 싣고 있다.또한 그가 연구에서 나타난 문제를 해결한 과정과 결과도 자세히 소개한다. 저자는 7년 동안의 몰입 체험이 ‘의도적인 노력으로 어떤 일에 몰입하는 것이 가능하고,그에 따라 가치관도 바뀔 수 있었다고 한다.
당신들은 보고 있어도 보고 있지 않다.그저 보지만 말고 생각하라.표면적인 것 배후에 숨어있는 놀라운 속성을 찾으라(p46)
지식에 감정이 실릴 때 비로소 믿음이 형성되고 열정이 생긴다(P295)
우리의 뇌는 심리적 엔트로피인 무질서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몰입을 체험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공허함과 부질없음은 주로 마음의 중심이 그 일 안에 있지 않고 바깥에 있을 때 생긴다.내 능력의 전부를 발휘하지 않고 극히 일부분만 사용하면서 살다 보면 인생이 텅 빈 것처럼 느껴지기 쉽다.(P200)
책에서 황농문 교수는 자기 능력의 한계를 발휘하고 그 한계를 넓혀가는 인생을 설계해야만 비로소 자아실현을 하고 후회 없는 삶을 살 수 있다고 강조한다.일반인과 천재의 차이는 얼마나 몰입하느냐에 달려있다.천재는 인간 사고의 극한까지 자신들을 몰고 간 열정의 소유자다.일반인들도 사고력의 발전을 위해서는 뭔가에 몰입을 할 필요가 있다.몰입을 하면 주어진 문제에 대한 의식의 비중이 높아진다.창의력과 통찰력은 몰입적 사고에서 발현된다.그러나 세상의 대부분의 것이 그렇듯 몰입적 사고 역시 양면성이라는 한계를 벗어날 수 없다.몰입에도 치우치지 않는 균형이 필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