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교과서 작품 읽기 중1 소설 (최신판) 국어 교과서 작품 읽기 시리즈
류대성 외 엮음 / 창비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너머 가는 시기 아이들은 많은 것에서 변화를 경험한다.학교와 친구가 달라지고 자유스러웠던 생활은 교복이라는 답답한 틀 속에 가두어진다.빠른 아이는 나는 누구인가?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시작하기도 한다.읽던 책이 동화에서 소설로 바뀌는 것도 아이들에게는 낯설은 경험이다.

 

 책이 귀하던 시절 중학생이 된 나는, 그냥 주변에 있는 책이 그것밖에 없으니까,어쩔수 없이 <죄와벌>,<이방인>,<어린왕자>,<데미안>을 읽었다.그때 소설은 왜 그렇게 어렵던지...그래서 아이에게 읽을 책을 골라주는 내 고민도 깊어진다.아이에게 어려운 고전은 피해가며 책을 골라줬는데,요즘 출판 경향을 보면 청소년 전용도서가 많이 발행되고 있다.이제는 아이들에게 고전을 읽혀도 괜찮은 때가 된 것이다.

 

 아이가 처음으로 중학교에 가면서 처음으로 읽게 되는 소설책.그래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재미가 없거나 너무 어려우면 아이들이 책 읽기에 흥미를 잃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초등학교 때 읽었던 동화책에서 살을 조금 보탠 정도면 좋다.너무 가볍지도 너무 무겁지도 않은 책읽기를 시도해 보자.<국어 교과서 작품읽기>에 실려 있는 소설 12편새로 바뀐 23종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 실린 작품 가운데 전국 국어 선생님들이 의견을 수렴해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고른 작품이다.소설은 심리와 갈등,정서와 분위기,역사적 상황이라는 주제로 묶었다.

 

  <나비를 잡는 아버지>는 지금은 사라진 시대를 아프고 감동깊게 그려낸다.그러나 그것은 형태만 다를 뿐 결코 사라지지 않은 현재의 모습이기도 하다.다만 그것이 지주와 소작인에서 임대인과 임차인의 관계라는 형태로 변했을 뿐이다.그 속에서 부대끼는 사람들의 모습은 똑같다.삶의 무게를 짊어진 부모의 모습도,책임감이라는 모습의 사랑도 변함없다.교과서의 진화된 모습- 싸이,<아버지>를 활동란에 싣고 있다.

 

<육촌형>은 아이들의 싸움을 통해서 현재 우리의 모습인,지역감정, 남한과 북한의 모습을 떠올리게 된다.<할머니를 따라간 메주>는 할머니와 어머니의 고부 갈등과 함께 세대간 갈등을,시대의 변화에 따른 현재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소를 줍다>는 읽으면서 가장 마음이 아팠던 글이다. 하지만 진한 남도사투리는 아이들에게 어려울 것 같다.주운 소에게 마음을 준 나와 아버지,소를 살 수 없는 아버지의 마음을 활동란에서 <워낭소리>와 견주어본다.

 

<기억 속의 들꽃>은 글의 앞부분에서는 <소나기>와 <별>을 생각나게 만들고,마지막 부분에서 앙드레 지드의<좁은문>을 연상시킨다.작가는 마지막 부분에서 소녀가 다리에서 추락하는 장면을 꽃이 강으로 떨어지는 장면으로 묘사하고,소년이 강으로 떨어뜨리는 반지는 내 눈 앞에서 빙그르 돌다가 정지된 화면으로 충격을 준다.그래서 나는 충격적인 소설의 마무리 장면이 여운으로 남는다.

 

 책은 아이들이 문학 작품의 재미와 감동을 확인하고 스스로 생각하는 힘기르는데 중점을 두었다.소설이 영원히 허구일 수만은 없는 이유는 그것이 현실을 담고 있는 그릇이기 때문이다.소설은 현실을 보여주는 또 다른 형태의 창일 뿐이다.그래서 아이들은 소설을 읽으면서 내가 몰랐던 를 만나기도 하고,나와는 다른 타자의 세계에 공감하는 법도 알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