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상하며 배우는 과학놀이 : 생활 과학 편 - 창의적 인재로 자라게 하는 기발한 과학 수업 ㅣ 교과서보다 먼저 생각하기 4
이자벨 아우어바흐.이본느 바인델 지음, 이미옥 옮김, 안야 필러 그림 / 명진출판사 / 2011년 1월
평점 :
품절
상상은 사고력과 창의력의 집으로,모든 것을 만들어 내는 공간이다.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모든 것은 생각 속에서 탄생한 것이다.사람들이 생각하는 모든 것은 이루어진다.상상상력과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최고의 공부는 놀이다.하지만 우리나라의 많은 부모들은 아이들을 공부시키기 위해 노는 시간을 줄일 뿐만아니라 노는 시간마저 공부하라고 안달한다.나 역시 조금은 그런면이 있다.아이들이 커갈수록 노는 시간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것이 우리나라의 현실이다.어른이 된다는 것은 더 이상 상상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물질적인 것에 얽매이다보니 상상할 수 없는 사람으로 변해가는 것은 슬프지만 어쩔수 없는 현실이다.
책에서는 열 두가지 상상 놀이에 대한 아이들의 답을 싣고 있다.저학년부터 고학년까지 봐도 좋다.우리가 동물로 변할 수 있다면,어떻게 될까요? 율리안은 아무 때나 자고 먹고 놀 수 있는 강아지가 되고 싶다.펠리치타스는 엄마가 심부름 시키려고 찾을 때 찾을 수 없는 카멜레온이 되고 싶다.안디는 놀고 싶어서 겨울잠을 자고 싶지 않다.크리스티안은 학교 가기 싫어서 겨울잠을 자는 동물이면 좋겠다.사람도 겨울잠을 잘 수 있을까?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될까요? 아니카는 소나 돼지처럼 가축으로 키우고 싶다.역시 아이들답다! 부모님을 백화점에 살 수 있다면? 이 물음에 대한 답은 내가 과연 부모로서 아이들에게 몇 점이나 받을 수 있을까? 내 딸들은 백화점에서 다른 부모를 고르지 않을까? 나의 잔소리가 싫어서 ㅎㅎ 상당히 얌심이 찔리는 질문이다.
창의력은 놀면서 자라는 것이다.그래서 어른보다는 아이들이 오히려 창의력이 뛰어나다.어른들은 고정관념에 의해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하지만 아이들은 스펀지가 물을 빨아들이듯 그렇게 모든 것을 거부감없이 받아들인다.창의력 있는 아이로 키우고 싶어도 어떻게 하는 것이 창의력을 키우는 것인지 잘 몰라서 하지 못하는 것이 어른이다.어른들은 해보지 않아서 상상 놀이를 어떻게 하는 것이지 잘 모른다.하지만 그것은 생각보다 간단하다.아이들처럼 노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