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의 지도 -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리처드 니스벳 지음, 최인철 옮김 / 김영사 / 2004년 4월
평점 :
이 책은 책 속에서 건진 보물이다.어떤 책을 통해서 알게 됐는지는 잘 모르겠지만,어느 순간에 각인된 책 이름은 끌리는 책이되어 내 손에 들어오게 된다.나는 책을 쓰는데 도움을 준 사람들 이름을 나열한 서문은 지루해서 대충 훓어 내려가버린다.그런데 저자는 은근슬쩍 다른 이들과 비교를 통해서 이 책을 쓰는데 도움을 준 사람들의 이름을 모두 읽게 만들어버렸다.책의 앞부분은 쉽고 재미있지만,추상적인 사고력이 떨어지는 나에게는 마지막 부분은 무척 어렵게 느껴진다.추상적인 사고력이 떨어지는 것은 동양적으로 사고하는 나의 모습이기도 하다.
동양인과 서양인 사이에 존재하는 사고력의 차이에 대해 책을 쓸 생각을 한 기발함이 신선하다.일찍 문명의 발전을 이룬 서양인들은 자의식이 강하다.그러나 노르베르트 엘리아스는 <문명화 과정>에서 서양인들이 말하는 문명이라는 것은 권력의 차이의 보존과 확대를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라고 말한다.저자는 동양인과 서양인의 사고의 차이를 실험과 증명,국가별 사례,문화의 비교,여러 문화 속에 내포된 것들을 통해 접근한다.
동양적인 특징들에서 나와 같은 타인,나와 쌍둥이 같은 타인,또 하나의 나를 만나는 느낌이다.다른 이를 통해서 바라보는 나의 또 다른 모습.내가 모르는 나와 우리를 보는 또 다른 관점,그래서 재미있게 웃으면서 읽을 수 있다.누군가 나를 이루고 있는 것들을 해체하여 나열해 놓은기분이다.
동양인이 전체와의 조화를 중요시 하는 반면 서양인들은 개인의 자율성을 중요시한다.그것들은 언어와 많은 문화유산을 통해서도 만날 수 있다.그래서 동양인들은 세계를 비선형적으로 인식을 하지만 서양인들은 세계를 직선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서양인들이 분석적 사고를 하는 반면 동양인들은 종합적 사고를 한다.그래서 우리는 서양인과 동양인의 사고방식의 차이는 우열의 문제가 아닌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음을 알게된다.
동양인과 서양인의 사고가 문화에 따라 다르다는 것은 사고방식도 사회화 된다는 재미있는 사실과 맞딱뜨리게 된다.태생적으로 동양인도 서양인도 아닌 각 나라의 이민자들은 서양과 동양적 사고의 교집합 속에 분포하는 재미있는 사실도 만난다.지정학적위치에 따라 동양적인 사고와 서양적인 사고의 중간에 속하는 나라도 있다.그러나 세계화 추세에 따라 서양인과 동양인의 사고방식도 많이 변해가고 있다.인터넷의 급속한 진화로, 한세기가 지나면 동양적과 서양적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방식은 사라지고 통합적인 사고방식만 남아있지는 않을까?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5200016563498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