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의 탄생 - 다빈치에서 파인먼까지 창조성을 빛낸 사람들의 13가지 생각도구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외 지음, 박종성 옮김 / 에코의서재 / 2007년 5월
평점 :
너무 전문화 되어버린 과학은 과학자들의 전유물로 변해버렸고,의술은 의사들의 전유물이 되어서 의료사고가 일어나도 그것을 제대로 조정해 줄 전문가가 부족하다.은유화가 심화된 시는 독자가 이해하기 어렵다 .수학은 수학자들만의 언어가 되어버렸고,추상화는 일반 관람객이 이해하기 어렵다.기술이 발달해 갈수록 모든 분야에서 전문화되고 세분화되어 분야간의 괴리감이 커졌다.분야간의 괴리감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그것은 <통섭 (通涉,Consilience),지식의 대통합>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학문간,분야간의 연결고리를 만들어주면 되는 것이다.그것 또한 여러 분야에서 전문성을 가질 때 가능해진다.우리가 천재라고 부르는 사람들은 일찌기 통합적으로 사고를 했었다.
천재들은 일반인과 어떤 점이 다를까? 우리가 생각할 때 그들은 숨막히게 논리적일 거라는 생각이 든다.그런데 그들은 직관이 먼저였다! 사고의 틀은 그 다음이었다.창조적으로 사고 한다는 것은 통찰력을 필요로한다.역사 속에서 가장 창조적인 사람들은 실재와 환상을 결합하기 위해 13가지 생각의 도구들을 이용했다.이 도구들은 관찰,형상화,추상화,패턴인식,패턴형성,유추,몸으로 생각하기,감정이입,차원적 사고,모형 만들기,놀이,변형,통합이다.참 다행스럽게도 이 도구들은 학습이 가능하다.생각도구란 사물을 통합하는 것이다.
모든 지식은 관찰에서 시작된다.그래서 천재들은 수동적인 보기가 아닌 적극적인 관찰을 했다.관찰은 주의력을 집중해야 하는 생각의 한 형태이고,생각은 관찰의 한 형태다.천재들의 가장 일반적인 생각도구는 머릿속으로 정교한 영상을 떠올리는 형상화(시각화)다.루치아노 파바로티(Luciano Pavarotti)는 피아노 앞에서 실제 노래 부르는 것보다 머릿속으로 음악연습을 더 많이 했다. 소설가 도로시 캔필드 피셔(Dorothy Canfield Fisher)는 글 쓰기 전 이미지 형상화를 먼저했다.추상화는 파블로 피카소의 그림처럼 불필요한 부분을 도려내가면서 사물의 놀라운 본질을 드러나게 하는 과정이다.자연의 무질서 속에는 무수한 패턴이 존재한다.패턴을 알아낸다는 것은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예상하는 것이다.뉴턴이 만유인력을 발견한 것은 사과를 땅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있다면 이는 하늘 위로 계속 뻗쳐나갈 것이고,그렇게 되면 달까지도 끌어당길 것이라는 유추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흔히 우리는 머리로만 생각한다고 여기기 쉽다.하지만 우리의 몸과 마음은 하나로 연결되어 있어서 생각하는 것은 느끼고 느끼는 것은 생각하게 된다.춤은 몸이 기억을 한 대표적인 예다.많은 천재들은 감정이입으로 문제를 해결했다.감정이입이란 문제 속으로 들어가 그 문제의 일부가 되는 것을 말한다.바버라 매클린턱(Babara McClintock)은 옥수수를 연구할 때 그것들의 안에서 그 체계의 일부로 존재했다.수학자 리처드 파인만(Richard Feymnan)은 문제를 풀지 않고 느꼈다.점에서 선,평면,입체로 이어지는 차원적 사고.차원적 사고를 가장 잘 표현해 주는 것은 모형 만들기다.우리를 둘러싼 세계를 이해하려면 다양한 모형을 만들어봐야 한다.천재들은 일을 놀이처럼 즐겼다.어떤 구상이나 통찰은 많은 생각도구들을 거쳐 변형되거나 하나 이상의 표현매체로 변환될 수 있다.
이 모든 생각도구들은 통합적인 방법으로 결합된다.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과학자 이면서도 화가인 것은 통합을 가장 잘 말해준다.13가지 생각도구는 서로 연결성을 가지고 있다.분야 간의 경계는 생각도구를 통해서 사라진다.인간이 상상하는 모든 것은 이루어진다.다만 그것이 세대에 세대를 거듭하는 진화의 시간이 필요할 뿐이다.인류가 진화해온 시간만큼 사고력 또한 진화를 계속했다.13가지 생각의 도구는, 전문화로 인한 지식의 파편화가 가져온 현대문명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최고의 대안교육방법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52000165626912.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5200016562691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