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쓰기 훈련소 - 간단하고 쉽게 글 잘 쓰는 전략
임정섭 지음 / 경향미디어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염불보다 젯밥에 관심있는 땡중마냥,제목보다는 부록으로 포함된 <서평 잘 쓰는 8가지 방법>에 끌려서 읽게 되었다.나는 네티즌 리뷰어다.리뷰쓰기에는 특별한 메뉴얼이 없다.그래서 그저 많이 읽고 많이 생각해서 마음 가는 대로 써 왔다.운 좋으면 인터넷 서점의 우수리뷰에 당선되기도 했다.리뷰가 잘 써지지 않을 때나,매끈하게 잘 쓴 달인들의 리뷰를 읽고 나면 내가 쓴 리뷰가 부끄러울 때도 있었다. 가끔은 좌절하기도 하는 아마추어 리뷰어지만,글쓰기가 좋다.리뷰가 잘 써진 날은 새신을 신고 팔짝 뛰면 머리가 하늘까지 닿을 것만 같다.그러땐 나도 글쟁이 기질이 있구나! 우쭐해진다.그런데 저자가 지적한 네티즌 리뷰의 오점들을 접하고 나니 '나의 리뷰 수준은 또 어떨까?' 얼굴이 빨개진다.
저자의 이력이 화려하다.그 중 눈길을 끄는 대목은 서평 아카데미를 운영한다는 이력이다.'저자는 '글쓰기의 매뉴얼화를 추구하고 있다.' 글쓰기를 매뉴얼화 한다는 것..고개를 갸우뚱하게 된다.음악처럼 악보가 있는 것도 아니고,수학처럼 공식이 정해진 것도 아닌 글쓰기의 매뉴얼화 쉽지 않을 것 같다.그런데 저자의 독특한 경험들은 글쓰기의 매뉴얼화를 가능하게 만들었다.글을 많이 써 본 경험과 가르치면서 목격한 오만 가지의 글쓰기 오류들이 바로 그의 재산이었다.거기에다 저자가 기자였던 이력이 글쓰기의 매뉴얼에 많이 나타난다.
그냥 쓰다 보면 써지는 것이 글이었기에 일부러 틀에 맞추어 써 본 적은 없다. 책에서 소개한 방법들을 사용해 보려고 하니,오히려 어색하다.저자가 언급한 내용들은 나도 모르는 사이 사용하고 있었던 방법들이다.그런데 부지불식간에 굳어져버린 나쁜 습관들이 많음을 발견했다.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단문(短文)쓰기! 글을 쓰다보면 문장이 길어져 자신도 모르는 사이 삼천포로 빠지고 있음을 발견하고 깜짝 놀랄 때가 많다.남들이 쓴 유려한 문장이 부러워 기교를 부리다보면 문장이 길어져 주어와 술어가 서로 어울리지 않는 글이 되어버린 적도 있다.<것>,<도>,<등>같은 글자를 중복하고 남용하면서도 그것이 잘못된 글인줄 조차 모르고 있었다.
다 써놓고 확인하지 않아서 나중에 오류가 있음을 알게 되어 고친적도 많다.그래서 이제는 써 놓고 소리내어 읽어본다.글을 눈으로 읽을 때와 소리내어 읽을 때는 많은 차이가 난다.분량이 정해진 리뷰를 쓰다보니 글자수에만 신경쓰고 글의 구조에 신경 써 본적이 없다.하지만 이제는 저자가 권하는 글의 구조인 포인트 라이팅(P- O -I -N -T)에 따라 써 봐야겠다.물론 처음부터 잘 쓰기는 어렵다.그것 또한 실패를 반복해야 할 것이다.성공보다 실패가 중요하다.실패해 본 경험은 성공의 바탕이 되기때문이다.
우리는 경계가 불분명한 시대에 살고 있다.인터넷의 발달은 전국민을 글쟁이로 만들었다.하지만 인터넷 언어는 한글을 국적불명의 언어로 만들어버렸다.그래서 네티즌들의 리뷰에도 국적불명의 언어들이 자주 목격된다.나 역시 그 중 한 사람이다.글을 잘 쓰고 싶으면 일 단 많이 읽어야 한다.많이 읽은 이의 글은 생각이 넓고 깊다.하지만 이 책을 읽고 한 가지 더 추가해야겠다.글을 쓰는 이는 글쓰기에 관련된 책도 자주 읽어야 한다는 사실이다.인용한 서평이 많아서 리뷰어에게 적극 권하고 싶은 책이다.글을 잘 쓰고 싶은 사람들은 사전처럼 곁에 두고 필요할 때마다 꺼내 보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