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읽기 - 공감과 이해의 심리학
윌리엄 이케스 지음, 권석만 옮김 / 푸른숲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상대방의 마음을 읽고 싶은 사람은 누구일까? 직업상 필요에 의해서,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사랑하는 사람의 마음을 알고 싶어서,자녀를 키우는 부모라면 아이들의 마음을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하다.아이들이 고집을 부리거나 화를 낼 때는 '~그랬구나' '아프겠다'..공감한다는 표현을 단 한마디만 해 주면 모든게 마술처럼 풀린다.
 

 그런데 나에겐 공감(empathy)이라는 단어가 왜 그렇게 어렵기만한지...내 마음에 여유가 있을 때는 저 하늘의 별이라도 따다 줄 것처럼 굴지만,내 마음에 분노나 미움이 먼저 자리 잡고 있을 때는 진심어린 마음으로 '아이가 왜 그럴까?' 아이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것조차 쉽지 않다.엄마의 지레짐작으로 하는 어설픈 공감은 아이를 더 화나게 만들기도 한다.그래서 공감 정확도(empathic accuracy)를 높이기 위해서는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예전에 TV 프로에서 말하지 않아도 상대방의 마음을 모두 읽는 남자의 이야기를 본 적이 있다.그것은 자신이 언제 죽을지 아는 것만큼이나 무모한 바램이었다.세상에는 모르는게 더 나은 것도 있다.재미있는 점은,공감이 오래전부터 있었던 개념이 아니라,약 1세기 전에 생겨난 새로운 개념이라고 한다.우리나라 사람들에게 특히 공감이 어려운 것은 아마도 이미 틀로 굳어버린 심리적인 습관 때문이 아닐까.나 역시 한국인 특유의 문화인 속마음을 잘 내색을 하지 않는 습관이 있다.그래서 나는 감탄사에 인색하다.그럴 때 비언어적인 신호는 언어 이상의 빛을 발한다.

 

 이 책은 읽는 이에 따라 평이 많이 달라질 수 있다.심리학적인 실험과정과 결과를 많이 싣고 있어서 일반 독자가 읽기에는 지루한 부분이 많다.하지만 실험은 객관성을 입증하는 중요한 과정이다.실험의 특성상 통념을 뒤집는,의외의 결과가 나오는 실험도 있어서 재미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