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국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1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혜윤님의 <세계가 두번 진행되길 원한다면>에서 알게된 설국은 그 새하얀 느낌에 반해서 읽게된 책이다.온통 새하얀 눈나라는 어떤 곳일까? 눈 내리는 겨울 들녘이 주는 고요하고 포근한 느낌.온 세상의 모든 죄악을 덮어버리는 새하얀 눈이 주는 그 느낌이 좋다.하지만 눈의 치명적인 약점은 해가 뜨면 모든 것이 드러나는데 있다.한여름에 읽게 되는 설국의 느낌은 겨울에 읽는 것과는 또 다르다.사춘기때 읽었던 빙점은 일본의 훗카이도를 배경으로 쓰여졌던 이야기였던 것 같다.일본의 겨울은 우리나라의 겨울과는 또 다른 매력이있다.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눈의 고장이었다.밤의 밑바닥이 하얘졌다.신호소에 기차가 멈춰섰다.(P7) 이 책의 시작은 이렇게 명문장으로 시작된다.이 곳은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군마현과 니카타 현의 접경지역의 경치를 배경으로 쓴 글이다. 제목이 주는 그 느낌처럼 소설은 그렇게 풍경처럼 서정적으로 그려진다.드넓은 설국의 고독과 애수,슬프도록 아름다운 설국에서 펼쳐지는 이루어지지 못할 사랑의 몸짓들.이국적인 설국에서 드러나는 이국적인 사랑의 언어만큼 결말도 이색적이다.그래서 더욱 충격적이다.여행이 주는 설레임은 어쩌면 누구라도 사랑하지 않고서는 못 베길지도 모른다.홀연히 나타났다가 어느날 훌쩍 떠나버릴 이방인이기에 게이샤인 그녀들에게 그는 더욱 신비함으로 다가왔을지도 모른다.

 

 서양무용 소개 따위를 쓰는 문필가인 주인공 시마무라와 기차에서 우연히 알게된 게이샤 요코와 게이샤 고마코 그들 사이의 뭐라 형용할 수 없는 이야기가 설원처럼 펼쳐진다.일본문화의 단면을 보여주는 게이샤라는 위치.그녀들의 고단한 삶을 들여다본다.그녀들은 접대부로 화류계에 몸담고 있지만 그녀들에게는 순수함이 묻어나고 시마무라는 그녀들의 그런 순수함을 좋아한다.술자리에 매번 불려나가야 하는 그녀들의 직업을 보면 분명 그리 순수해 보이지는 않는다.하지만 작가는 시마무라를 향한 그녀들의 사랑을 하얀 눈처럼 순수하고도 열정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고마코와 요코는 게이샤이기 때문에 그녀들의 시마무라를 향한 마음은 참 쓰리고 아픈 사랑일 수밖에 없다.시마무라를 향한 그녀들의 마음은 항상 입언저리를 맴돌뿐 결코 사랑이라고 말하지 못한다.다만 우리는 그녀들의 행동에서 사랑을 볼 수밖에 없다.결코 이루어질 수도 없고,말하지도 못 할 사랑을.그 사랑은 설국에서 온 사랑이기에 그녀들의 사랑은 더욱 시리다.흰 눈위의 발자국처럼 시마무라의 가슴에 남기고 간 요코의 아픈 사랑의 몸짓.그래서 몽환적인 소설은 더욱 몽환속으로 빨려들어가 버린다.현실에서는 결코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일들.백제의 낙화암에서 떨어진 꽃들처럼 요코는 먼 역사 속 시마무라의 꿈 속에서 떨어진 한송이의 꽃이었는지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