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묘 18현 - 조선 선비의 거울
신봉승 지음 / 청아출판사 / 2010년 5월
평점 :
문묘(文廟)란 공자의 위패(位牌)를 모시는 전각(殿閣)을 말한다.우리나라의 문묘에는 목숨을 바쳐 나라에 충성했던 고려와 조선, 신라등 지식인 18분과 공자를 비롯한 중국의 성현들이 함께 모셔져있다.한국에서 공자 사당의 유래는 통일신라 때인 성덕왕 13년 김수충(金守忠)이 당나라에서 공자와 그 제자들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다. 고려시대에도 대성전(大聖殿) 건립이나 배향자 정비가 이루어졌다. 문묘는 조선시대 청소년들이 공부하는 성균관의 구내에 있는 대성전이라는 건물과 이 공간에 있는 여러 건물들을 통칭해서 부르는 말이다.
이들을 문묘에 모신 이유는 그들의 업적을 후대까지 알리고 그들의 행동을 본받게 하기 위해서다.그들은 우리가 이미 역사서에서 여러차례 만났던 지조와 절개가 있는 이들로 이름만 대면 아는 분들이다.문묘18현은 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언적,이황,김인후,이이,성흔,김장생,조헌,김집,송시열,송준길,박세채,최치원,설총,안향,정몽주다.하지만 우리가 안다고 생각할 뿐 실제 깊이 알지는 못한다고 할 수 있다.그래서 이 책에서는 그들의 행위를 문헌을 토대로 풀어 쓰고 있다.
이 책의 주요 대상 독자는 정치인,교수,기업인등 지식인들이다.책을 읽다보니 저자가 그들에게 충고하는 문구가 많이 보이기 때문에 나는 이 책의 독자층을 그렇게 받아들였다.일반 독자가 읽기에는 한자어로 된 낱말이 너무 많아서 어렵다.발췌한 글은 <조선왕조실록>.<조선왕조수정실록>외 여러 문헌을 토대로 한 것이다.
한자어에 대한 주석이 하나도 없어서 너무 깔끔하다.그래서 수준 높은 독자들은 재미있게 읽을 수 있지만 나와 같은 일반독자가 출퇴근 시간에 읽기에는 힘들다.물론 퇴근 후 집에서 한자사전이나 인터넷사전 검색을 해 가면서 읽을 수 있다면 이 책을 읽기에 어렵지 않다.만약 이 책이 일반독자를 겨냥했다면 주석을 달든지,전자책으로 출시됐더라면 오히려 더 낫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들었다.전자책이라면 출퇴근 중에 사전을 검색해 가면서 읽을 수 있기때문이다.
예로부터 선비는 매.난.국.죽으로 표현했다.문묘에 모셔진 이들은 절대군주에게 정치를 잘못하고 있다고 대놓고 큰 소리 칠 수 있는 배짱이 있었다.그들이 그렇게 할 수 있었던 것은 목숨을 아끼지 않았기에 가능했다.당시에는 자신의 직언때문에 귀향을 가거나 사약을 받거나 사사되었지만 그들은 훗날 문묘에 모셔져 영원히 살게 되었다.고려나 조선,신라처럼 절대군주정 아래서 직언을 할 수 있는 신하도 위대하지만,그런 제도를 갖추고 있었던 우리 선조들의 지혜도 존경스럽다.조선시대 직언을 했던 초야에 묻힌 선비들을 유일,은일,처사라는 이름으로 불렀지만,이 책에서 다루는 분들은 대부분 현실정치에 참여한 신하들이다.
현시대의 정치인들이나 지식인들이 과연 자신의 목숨을 내놓고 직언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몇 이나될까? 교수들은 때만되면 국회로 몰려들고,정치인들은 선거때만 국민에게 고개 숙인다.많은 언론이나 기업주들은 정치인의 시녀가 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우리 선조들이 지향했던 유토피아가 지식이 아닌 예(禮)에서 찾고 있는 것을 볼 때 ,학교가 학원의 시녀로 전락해 버린 요즘 현실은 그것에서 너무 멀리 와버렸다.그러나 너무 늦었을 때가 가장 빠르다고 했으니, 이 나라의 지식인들은 문묘18현의 직언을 새겨 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