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이레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알랭 드 보통의 <불안>은 <교양인의 행복한 책읽기>에서 발견한 책이다.<불안>은 제목만 봤을 때는 절대 택할 것 같지 않은 책이다.왜냐하면 나는 내 속에 잠재되어 있는 불안 이라는 이름을 절대로 밖으로 꺼내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누구나  내면의 약한 부분은 인정하고 싶지 않고,더더욱 드러내 놓고 자랑할 거리는 못 된다.현대인들은 ~척 하는데 선수이기 때문이다.책을 읽기 전에는 개인의 불안을 주로 다룰 줄 알았다.그런데 읽어보니 개인의 불안이자 사회의 불안을 이야기 하고 있었다.인간은 결국 혼자 살 수 없는 존재이기에 불안 또한  개인이 사회와 소통하는 중에 조장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지위로 인해 생기는 현대인들의 불안을 규명하고 대안까지 제시하고 있다.번역가 정영목님은 <눈먼 자들의 도시>등 주제 사라마구의 많은 작품을 번역한 전문 번역가다.국내 작가의 서적보다 번역서는 읽기에 많은 인내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하지만 이 책을 읽는데 전혀 부담이 없이 편하게 읽을 수 있었다.관련 삽화들을 보는 즐거움도 크다.

 

 지위란 좁은 의미로는 보통 한 집단 내에서 자신이 차지하는 위치를 말한다.하지만 이 책에서 문제를 제기하는 넓은 의미의 지위는 세상의 눈으로 본 사람의 가치나 중요성을 가리킨다.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최초의 누군가가 공용의 땅에 금을 긋고,여기는 내 땅이라고 표시하면서 부터 인간은 소유라는 이기적인 경제개념이 생기기 시작했다.그러다 보니 많이 가진 자가 덜 가진 자를 지배하게 되었고,지위는 경제적 성취와 관련 되기 시작했다.지위는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시대나 지역의 가치에 따라 변해왔다.어떻게 보면 지위의 차이는 문화의 차이이기도 하다.

 

 불안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그는 불안을 규명하기 위해 정치,경제,사회,철학,문화,역사등 다양한 분야를 관찰하고 있다.사회가 발달할수록 우리가 느끼는 불안도 커진다.알랭 드 보통은 불안의 원인을 사랑의 결핍,속물 근성,기대,능력주의,불확실성에서 찾고 있다.사회적인 지위가 가진 권력에서 오는 대중의 관심욕구,또한 그들은 속물 근성의 선두에 서 있는 경우가 많다.특히 평등의식이 강한 우리나라 사람들은 상대적인 박탈감이 크다.언제부터인지 경제적인 획득이 도덕성과 동일시 되면서 빈자가 설 땅이 없어졌다.하지만 유동적인 지위는 언제 그 자리를 타자에게 내 놓아야 할지 모르는 불안의 원인기도 하다.

 

 불안이 도처에 어슬렁거리면 우리는 어딘가 탈출구가 필요해 진다.만약 탈출구가 없다면 우리의 삶은 불안으로 인하여 붕괴되고 말 것이다.알랭 드 보통은 그 불안의 탈출구를 역사적으로 관찰한 결과 철학,예술,정치,기독교,보헤미아,등에서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뭐든 다 들어 주겠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해를 가리지 않게 옆으로 비켜 달라고 했던 철학자 디오게네스.예술은 예로부터 현실에서의 욕구불만을 표출할 수 있는 통로였다.모든 시대의 지배적 관념이 늘 지배계급의 관념이었던 점을 보면 정치의 변화는 중요한 부분이다.서양역사는 기독교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기독교는 세속적인 욕망과 정반대의 것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보헤미안들은 다수의 가치와 다른 것을 추구하는 데서 불안을 해소 해왔다.동양적인 불교도 그 대안이 될 수 있겠다.

 

 알랭 드 보통의 시선으로 해석하면,나는 세상이 쳐놓은 덧에 걸려 있었다.지위에 따라 자아상까지 결정해 버리는 우리.내가 책을 읽는 이유도 불안을 해소하는 예술 방법 중 한 가지인 셈이다.반면 지위에 대한 갈망은 자신의 재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도록 자극하는 한 방법이 되기도 한다.그래서 모든 세상사에는 양면성이 있나보다.그는 결국 불안을 규명하면서 불안의 이면의 것, 행복을 규명하고 있었다.그래서 다음에 읽게 될 책이 버트런트 러셀의 <행복의 정복>이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