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열정의 과학자들 - 유클리드에서 스티븐 호킹까지 ㅣ 아이세움 청소년 2
존 판던 외 지음, 김옥진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과학의 발달이 몰고 온 문명의 진화는 이제 일반인들이 따라가기 어려울 지경에 이르렀다.그래서 과학이라는 학문은 과학자들의 전유물이 되어버렸다. 과학은 나날이 발전하여 진보가 진보를 낫다보니 ,식량은 산술적으로 증가하는데 비해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멜서스의 인구론이 오히려 과학에 더 잘 들어맞는다.그래서 미래공상과학소설들은 과학의 발달이 가져올 유토피아보다 디스토피아를 더많이 그려낸다.미래를 유토피아로 그리고자 한다면 일반인들과 과학 전문가들과의 격차를 줄여야 하지 않을까?
요즘 발행되는 과학입문서들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그렇게 어렵지 않다.과학은 무조건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마도 편견이 아닐까? 과학의 역사는 철학의 역사와 맛닿아 있다.고대 그리스 사상가중 데모크리토스는 최초의 원자론을 주장했다.그래서 이 책에서는 고대 그리스의 유클리드로 부터 스티븐 호킹까지 약 50인의 과학자들을 시대순으로 다루고 있다.과학자들의 일화와 그들의 업적을 같이 묶어서 이야기하다보니 자연스럽게 과학적 법칙과 과학용어들이 등장한다.그래서 쉬운 과학입문서 역할을 한다.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 <장미의 이름>을 보면 장서관의 필사가들이 금서가 된 아랍의 서적들을 필사하는 것을 볼 수 있다.당시 아랍의 과학은 상당히 발달 했을 것으로 보인다.하지만 우리는 유럽인들의 시각으로 본 역사만을 배워왔기 때문에 아랍의 과학자들에 대해서는 접할 기회가 없었다.이 책에서는 중세 아랍 과학자들까지 다루고 있다는 점이 상당히 맘에 든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새처럼 나는 기구가 현대의 과학자들의 실험에 의해 실제 날 수 있고 비행 중에 조절도 할 수 있다는 는 것이 증명되었다니 놀랐다.자신의 정액으로 극미동물을 관찰한 레이우엔 훅.자신의 몸을 실험대상으로 삼다가 결국 건강이 나빠져 죽은 로버트 훅.뉴턴이 연금술과 점성술을 연구했다는 사실도 재미있다.새로운 식물 표본을 찾아 세계 여행중 돌아오지 못한 린네의 사제들.단두대에서 처형당한 라부아지에.프랭클린의 DNA 51번 사진에서 나선 구조의 DNA모형을 완성한 왓슨.
과학적 발명은 그들의 열정에 의해 탄생한 결과물이었다.많은 과학자들이 발견한 사실들은 그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이해를 넘어서는 것들이었다.그래서 그들의 업적이 사후에 인정을 받게 되는 경우도 많아 안타깝다.우리나라에서는 취업의 어려움때문에 이공계학과 지원이 줄어들고 있다고 하니 더욱 안타깝다.자연과학 서적을 읽는 것은 논리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고의 폭을 확장 시킬수 있는 좋은기회다.
과학의 발달이 몰고 온 문명의 진화는 이제 일반인들이 따라가기 어려울 지경에 이르렀다.그래서 과학이라는 학문은 과학자들의 전유물이 되어버렸다. 과학은 나날이 발전하여 진보가 진보를 낫다보니 ,식량은 산술적으로 증가하는데 비해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멜서스의 인구론이 오히려 과학에 더 잘 들어맞는다.그래서 미래공상과학소설들은 과학의 발달이 가져올 유토피아보다 디스토피아를 더많이 그려낸다.미래를 유토피아로 그리고자 한다면 일반인들과 과학 전문가들과의 격차를 줄여야 하지 않을까?
요즘 발행되는 과학입문서들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그렇게 어렵지 않다.과학은 무조건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마도 편견이 아닐까? 과학의 역사는 철학의 역사와 맛닿아 있다.고대 그리스 사상가중 데모크리토스는 최초의 원자론을 주장했다.그래서 이 책에서는 고대 그리스의 유클리드로 부터 스티븐 호킹까지 약 50인의 과학자들을 시대순으로 다루고 있다.과학자들의 일화와 그들의 업적을 같이 묶어서 이야기하다보니 자연스럽게 과학적 법칙과 과학용어들이 등장한다.그래서 쉬운 과학입문서 역할을 한다.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 <장미의 이름>을 보면 장서관의 필사가들이 금서가 된 아랍의 서적들을 필사하는 것을 볼 수 있다.당시 아랍의 과학은 상당히 발달 했을 것으로 보인다.하지만 우리는 유럽인들의 시각으로 본 역사만을 배워왔기 때문에 아랍의 과학자들에 대해서는 접할 기회가 없었다.이 책에서는 중세 아랍 과학자들까지 다루고 있다는 점이 상당히 맘에 든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새처럼 나는 기구가 현대의 과학자들의 실험에 의해 실제 날 수 있고 비행 중에 조절도 할 수 있다는 는 것이 증명되었다니 놀랐다.자신의 정액으로 극미동물을 관찰한 레이우엔 훅.자신의 몸을 실험대상으로 삼다가 결국 건강이 나빠져 죽은 로버트 훅.뉴턴이 연금술과 점성술을 연구했다는 사실도 재미있다.새로운 식물 표본을 찾아 세계 여행중 돌아오지 못한 린네의 사제들.단두대에서 처형당한 라부아지에.프랭클린의 DNA 51번 사진에서 나선 구조의 DNA모형을 완성한 왓슨.
과학적 발명은 그들의 열정에 의해 탄생한 결과물이었다.많은 과학자들이 발견한 사실들은 그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이해를 넘어서는 것들이었다.그래서 그들의 업적이 사후에 인정을 받게 되는 경우도 많아 안타깝다.우리나라에서는 취업의 어려움때문에 이공계학과 지원이 줄어들고 있다고 하니 더욱 안타깝다.자연과학 서적을 읽는 것은 논리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고의 폭을 확장 시킬수 있는 좋은기회다.
<교양인의 행복한 책읽기(독서의 즐거움)>의 저자 정재원님은 인터넷 서점의 과학서적에는 리뷰가 없다며 그많은 리뷰어들은 다 어디로 갔냐고 묻는다.대부분 그렇듯 나 역시 자연과학서적은 어려워서 멀리하고 있었는데,그는 과학책을 등한시 하는 사람은 결코 진정한 독서가가 아니라며 계절이 바뀔 때마다 과학책을 한 권씩 읽을 것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