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호! 춤을 추자 - 우리춤 야호! 신나는 체험 시리즈 3
이야기꽃.김지원 지음, 이지원 그림, 김찬복 사진 / 청어람주니어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요즘 아이들은 춤을 빨리 터득한다.TV스타들이 추는 온갖 댄스를 잘도 따라한다.하지만 우리 춤에 대해서는 잘 알지도 못할 뿐만아니라 관심조차 없다.우리 아이들도 유행하는 댄스를 잘 따라하지만 우리전통 춤에 대해서는 학교에서 배운 부채춤밖에 알지 못한다.그래서 우리 춤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하려고 내가 고른 책이다.아이들이 엄마가 관심을 갖고 읽는 책은 무슨 책인지 호기심을 갖고 들여다보기라도 하기때문이다.그래서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일부러 어깨를 들썩이면서 춤을 따라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춤에 관한 가장 아름다운 기억은 승무가 아닐까싶다.춤의 기원은 주술적 행위에 있다고 한다.그것이 놀이로 발전해 갔다.천지인이라는 우주관에 우리춤이 표현되어 있고,벽화에 그려진 <무용도>에도 춤이 등장한다.춤의 역사가 상당히 오래됐고,춤의 종류가 이렇게 다양한 줄 미쳐 몰랐다.춤의 종류는 궁중춤과 의식춤,민속춤,신무용으로 나뉘며 그 속에 많은 춤들이 포함된다.궁중춤이 절제,우아함,신비로운 분위기,품위,여백의미를 담고 있다면 민속춤은 해학과 풍자와 참여하는데 의미가 있다.

 

 우리춤의 가장 큰 멋은 자연스러움이 아닐까? 흰색의 백의민족 의상과 가장 잘 어울리기도 한 자연스러움.하지만 내 어릴적 기억에 비춰보면 아이들이 우리춤에 가까이 가지 못하는 것은 울긋불긋한 의상이 주는 강렬함이 가장 큰 원인이기도 하다.원색의 강렬한 의상은 무녀들의 의식춤에서  많이 봐 왔고,그것은 어떤 아이들에게 친근감보다 왠지 가까이 하기엔 두려운 것이 아니었을까.우리춤의 진성한 멋은 <승무>라는 시를 접하면서 부터다.그때부터 우리춤은 나에게 멋스러움으로 각인 되었다.

 

  <승무>의 매력을 다시 한 번 느껴보고 싶어서 이 책을 펼친듯 싶다. 책이 내용은 상당히 잘 나왔는데,보통 아이들이 관심을 갖기에는 설명에 사용한  낱말들이 어렵고 고급스러운 내용들을 담고 있다. 같은 학년에서 비교해 봤을 때 조금 앞서가는 상위10%의 아이들을 겨냥한 내용같다.그래서 춤에 관심이 많거나 어려운 내용도 소화할 수 있는 6학년에게 권하고 싶다.글과 그림과 사진이 어우러져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최승희>의 춤 사진도 볼 수 있고,아이들이 춤을 따라 해 볼 수 있는 그림이 나와 있다.책은 상당히 정성들여서 잘 만들었다.아이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듯 구어체의 글쓰기는 친근감을 더해 준다.하지만 조금 쉽게 만들었으면 좋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