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조적 책읽기, 다독술이 답이다
마쓰오카 세이고 지음, 김경균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제목만 봤을 때 다독술이 뜻하는 것은 다독술(多讀術)인 줄 알았다.하지만 읽다보니 다독술(茶讀術 )에 가까웠다.즉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차를 즐기듯 그렇게 책을 즐기라는 것이다.저자가 말하는 책을 즐기는 방법은 그 종류가 이루 헤아릴 수없이 많다.하지만 그가 말하는 방법은 모두 이미 우리가 즐기고 있었던 방법들이다.다만 우리는 그것이 책을 즐기는 방법이라는 것을 명쾌하게 자각하지 못하고 있었을 뿐이다.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비로소 아~ 그것은 내가 책을 즐기는 방법이었구나! 깨달았다.
조용한 공간에서 책을 읽는 것은 다독가라면 누구나 꿈꾸는 희망사항이다.하지만 현대인은 바쁘고 시간이 없을 뿐만아니라 현대사회는 시끄럽기까지 하다.그래서 많은 이들이 자투리시간에 틈새 독서를 한다.나 역시 대부분 자투리시간에 독서를 한다.그래서인지 어떤 사람은 흔들리는 전철에서 집중이 더 잘 된다고 한다.어떤 이는 반듯한 자세로 앉아서 읽어야 더 집중이 잘 된다고 한다.책을 읽을 때 밑줄 그을 연필이 없으면 집중이 안된다거나 색색깔의 형광펜으로 밑줄을 긋는 것,커피를 마시며 읽어야 더 집중이 잘 된다거나 그런 방법이 모두 다독술(독서술)이다.
마쓰오카 세이고,그는 일본에서 자신의 사이트 <센야센사쓰>라는 코너에 메일 독서 감상문을 한편씩 올리고 있고,그것들을 7권의 책으로 출간했다.그는 책을 읽기 위해 새벽 3시전에는 잠을 자지 않는다고 한다.그래서인지 이 책에서 언급한 책만해도 그 종류를 헤아리기 어렵다.그는 경계를 허무는 독서를 하고 있다.그래서 그가 말하는 다독술의 비결은 바로 옷을 갈아입듯 그렇게 책을 코디하라는 것이다.또한 밥을 먹듯 그렇게 빼먹지 말고,반찬을 골고루 먹듯 그렇게 책을 골고루 읽으라고 한다.그는 책읽기가 바로 생활이다.그에게 독서란 판도라의 상자를 여는 행위다.독서는 새가 높은 하늘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것처럼 전체를 한눈으로 관찰하는 능력인 조감력(鳥瞰力)과 작은 부분까지 자세히 들여다보는 미시력(微視力)이 교차하는 실험이라고 한다.
그가 말하는 독서의 종류만 해도 백가지는 넘을 성싶다.다독(多讀),소독(小讀),협독(狹讀),광독(廣讀).....조독(組讀))은 2권 이상의 책을 조합해서 번갈아 가면서 읽는 것,정독(情讀)은 한 권의 책을 깊이 있게 읽는 것을 말한다.그는 정독보다는 조독이 더 집중력을 발휘하기 쉽고,창조적인 독서를 가능하게 한다고 말한다.어려서 읽었던 책을 성인이 돼서 읽는 재독(再讀),즉 같은 책을 두 번 읽는 방법도 시간과 공간을 넘나드는 시선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가 말하는 독서의 키포인트는 바로 편집독서다.한 권만을 끝까지 읽는 획일적인 독서가 아닌 자신의 스타일에 맞게 여러권을 조합해서 읽는 자기 편집력을 말한다.그래서 그의 서가는 책을 꽂는 방법이 특이하다.그가 말한 많은 종류의 독서방법들 중 전집독서나 잡지읽기,링크늘리기 등은 도전해 보고 싶다.나도 책을 읽은 후 리뷰를 쓰고,좋은 문장은 메모를 하고 있지만 역시 독서고수의 방법은 따라해 볼 필요가 있겠다.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라고 하지않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