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림의 발견 1 일루저니스트 illusionist 세계의 작가 10
스텐 나돌니 지음, 장혜경 옮김 / 들녘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느림은 여유를 필요로 한다.하지만 현대인들은 속도에 취해 있어서 느린 것을 견디지 못한다.이 책의 주인공 존은 천성적으로 너무 느리다. 존은 너무 느리기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고 그냥 지나치는 것들을 보게 된다.속도를 중요시하는 사람들은 그 무엇도 천천히 관찰하려 하지 않는다.하지만 존은 너무 느리기때문에 무엇이든 관찰하게 되고 남들이 놓치는 부분을 발견해 낸다. 

  정상적이라는 기준이 뭘까? 내가 생각하기에 정상이란 그 시대의 생활습관과 사고방식에 잘 쫒아가는 것쯤으로 알고 있다.하지만 전문가는 공감하는 능력을 정상이라고 말한다.그래서 같은 또래보다 속도가 쳐지는 존의 느림은 장애일 수밖에 없다.하지만 존의 느림이 과연 장애일까? 이 소설을 통해서 우리가 놓치고 지나가는 느림의 의미를 되새겨 보게한다.

  

 영국의 탐험가 존 프랭클린(1786~1843)은 성공보다는 실패로 명성을 얻은 특이한 탐험가였다. 그의 세 차례의 북극 탐험은 실패로 돌아갔고 마지막 탐험길에서 그는 사망한다.이 소설은 프랭클린이 남긴 편지와 기록에 작가적 상상력을 보태 그의 일생을 문학적으로 재조명한 전기소설이다.

 스필스비 마을의 존 프랭클린은 열 살이나 먹었는데도 공 하나 제대로 잡지 못할 만큼 동작이 느리다.그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곤 다른 아이들을 위해 줄을 잡아 주는 것이 전부다.그래서 존은 다른 아이들에게 놀림감이고 아버지는 그를 구타한다.존은 자신을 느리다고 생각할 사람이 없는 곳으로 가고 싶어서 가출을 한다.존은 속도를 탐구하고 싶어 한다.그러다보면 언젠가는 지금 자신보다 빠른 사람들을 추월할 날이 올 것이다.그는 태양처럼 되고 싶어한다.겉보기에는 느릿느릿 하늘을 지나지만 그 빛은 사람의 시선만큼 빠르기때문이다.

 

 그는 숲에서 자연의 느린 변화를 관찰한다.존은 항해사가 되고 싶어한다.그러나 서른여섯 시간 만에 아버지에게 붙집혀 방안에 갇힌다.그로 인해 앓고 있을 때 그를 이해 해준 사람은 선원인 매슈밖에 없다.존이 학업을 마치면 해군사관학교 생도 자격으로 그의 배에 태워준다는 매슈의 말을 믿고 학교에 들어간 존은 그 때만을 기다린다.모두들 존이 지금 이대로 멈춰 있을 거라고 믿고 있지만 존은 그 때를 위해 스스로 많은 노력을 한다.버나비선생님은 존을 괜찮은 재목이라고 생각한다.모두들 존이 배를 타는 것을 내켜하지 않지만,열 네살이 된 존은 결국 배를 탄다.그들은 존이 거친파도와 배에서의 생활을 견뎌내지 못할 거라고 생각한다.

 

 열 다섯살에 선장 매슈와 함께 인베스티게이터(크세노폰)호의 선원이 된다.존은 이제 자신이 더 이상 느리다고 생각하지 않게 되고 미지의 세계로 탐험을 떠난다.암초를 만나 53일만에 모두 포기해 버렸을 때 희망을 버리지 않은 존 덕분에 선원들이 모두 살아나기도 한다.열여덟살에 해군사관학교 생도 존은 동인도 선박 얼 캄덴에서 기수를 한다. 존은 배에서 영국과 프랑스의 전쟁을 치루기도 하고,힘겨운 생활을 견뎌낸다.어쩐 일인지 총알도 그를 비켜간다.전쟁으로 폐허가 되어 모두가 빈곤해졌을 때도 존은 새로운 꿈을 꾼다.존에게는 다른 사람들에게는 없는 호기심이 있다.존의 또 다른 호기심은 어떤 것일지 2편이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