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서브 로사 2 - 네메시스의 팔 로마 서브 로사 2
스티븐 세일러 지음, 박웅희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0년 1월
평점 :
절판


역사소설의 장점은 어려운 역사에 쉽고 재미있게 다가서기에 좋은 점에 있다. Sub Rosa는 ’장미 밑에 있다(under the rose)’ 라는 뜻으로 비밀회의 장소에 장미를 꽃아 두었던 로마 시대 관습에서 유래한 말로, 로마 서브 로사는 역사에 잘 드러나 있지 않은 그 이면에 감추어진 것을 들추어 내는 것을 나타낸다.<1.로마인의 피>를 재미있게 읽었다.네메시스(그리스어: Νμεσις)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보복의 여신이다.2편은 네메시스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 궁금증을 자아낸다.로마서브로사는 과거 로마로 여행 떠나기에 좋은 신비한 타임캡슐이다.

 

  로마의 이미지는 잔인함의 상징인 콜로세움경기장부터 떠오른다.2편에서 다루고 있는 시기는 BC72년 스파르타쿠스 반란시기 전후이다.실재 로마사에서 전설적인 부를 쌓고 카이사르,폼페이우스와 함께 1차 삼두정치의 일각을 담당한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는 파르티아 원정에서 죽었다.

 

 소설은 그의 피살에 대해 마르쿠스 뭄미우스가 더듬이라 불리는 고르디아누스를 찾아와 사건을 의뢰하면서 시작된다.두둑한 보수,정체모를 의뢰인,직감으로 위험한 살인사건이란 것을 알지만 호기심 많은 고르디아누스는 단 5일 이라는 기간 안에 해결해야 하는 사건을 수락한다.장례일과 시합날을 빼면 실제 그에게 주어진 시간은 이틀밖에 없다.그러니까 이 책은 단 5일간 고르디아누스가 사건을 추적하고 해결해 가는 과정인 것이다.물론,더 알고 싶은 독자를 위한 에필로그라는 친절한 뒷이야기도 기다리고 있다.

 

 집의 실제적인 주인은 크라수스지만 집의 관리자인 리키니우스를 그의 서재에서 죽이고 ,그것을 목격한 두 명의 노예에게  죄를 뒤집어 씌운 천재적인 범죄자.비밀에 가까이 가는 자 또한 죽음을 면치 못한다.예나 지금이나 변함없는 인간의 부를 향한 탐욕,권력을 향한 탐욕의 이면에는 범죄의 동기가 숨어있다.이 소설에서 살인 현장인 루키우스 리키니우스의 서재를 빗대어 스티븐 세일러는 오늘날 인류의 서재인 도서관의 죽음을 말한다.

  

 마르쿠스 크라수스는 한 노예가 주인을 살해하면 그 집의 모든 노예를 죽여야 하는 로마법에 따라 도망간 두 명을 포함한 그 집의 모든 노예 101명을 콜로세움에서 공개처형 하기로 한다.노예들을 살리기 위해서는 더듬이가 그들의 무죄를 입증해야만 한다.로마식 정의를 실현 하고자 하는 크라수스와 자신의 방법으로 정의를 실현하고자 하는 더듬이 고르디아누스의 정의관의 대조적인 비교도 재미를 더한다.로마시대 범죄자 처단 방법중 열 명 중 한 명을 죽이는 데키마티오넴도 잔인하기 그지없다.

 

 잔인한 사형(死刑) 중에서도 가장 잔인한 갤리선 노예 생활을 들여다봐야 하는 불편함.로마에서 노예는 인간이 아니라 시민의 재산목록에 포함된다.노예들의 아픈 삶과 로마시민의 위치가 소설속에서 내내 비교된다.그래서 검투사 스파르타쿠스의 반란은 일어날 수밖에 없는 시대상황이다.

 

  명탐정 홈즈에 버금가는 감식가의 눈,사냥꾼의 눈을 가진 고르디아누스의 직감,예민한 감각,관찰력,사건을 향한 목숨을 건 집념.고르디아누스는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부분을 먼저 찾아낸다.스티븐 세일러의 살아있는 케릭터 더듬이 고르디아누스가 제공하는 고도의 추리과정은 독자를 흥미진진한 역사추리소설의 재미에 풍덩 빠뜨려 놓는다.

 

 하지만 그도 인간이다보니 실수하기도 하고 누군가의 도움을 절대적으로 필요하기도 하다.또한 저자는 시대성이라는 것을 감안해서 더듬이에게 민간신앙에 의존하기도 하는 유약한 면모도 심어 놓았다.증거가 증거로써의 힘을 발휘하지 못하게 만든 예상밖의 함정에 고르디아누스조차 빠져들게 만드는 저자의 치밀한 구성력,하지만 범인을 확정 짓는 그 적당한 순간포착은 깔끔한 마무리의 대미를 장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