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를 기다리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도는 뭘까? 고도는 누구일까? 처음엔 높은 곳을 가리키는 단어일 것이라 생각했다.다른이의 서평을 스치듯 읽고 나서 고도는 막연한 기다림 같은 것이라고 생각했다.그러다보니 고도가 무엇인지 갈수록 더 궁금해졌다.이 책은 우리가 꼭 읽어야 할 서양고전이다. 내 오랜 경험에 비춰보면, 고전 한권을 읽는 것은 신간 수십권 아니 백 권 읽는 것보다 가치가 있다.고도가 무엇인지 궁금해서 진즉 읽고 싶었지만 희곡이라는 장벽에 부딪혀 미루다 미루다 큰 맘먹고 이제야 읽게 되었다. 스토리는 너무 단순하지만,비애감과 함께 유발하는 웃음 ,그 황당함과 신선함,생각을 곱씹어보게 하는 이 작품의 공감성은 희곡의 재미를 느끼기에 좋다.희곡의 매력에 빠져버리게 만드는 작품이다.

 

 제1막이 오르면 시골길에 나무 한 그루가 서 있고,구두를 벗으려고 기를 쓰는 에스트라공과 “아니,또 너로구나!” 라고 말하는 블라디미르가 등장한다.이들은 처음 본 사이가 아니다.그들은 어떤 행동이 끝날 때쯤이면 가끔씩 "우리가 지금 뭐하지?" "고도를 기다려야지" 라는 말을 한다.이들은 고도를 마냥 기다리기만 한다.그들은 기다리는 것에 버릇이 돼 있다.기다림에 지친 그들은 무의미한 행동들에서 뭔가를 찾아내는 데서 살아 있다는 것을 실감한다.고도가 사람일까? 그들의 동료일까? 신을 말하는 걸까? 수수께끼같다.

  

이 모든 혼돈 속에서도 단 하나 확실한게 있지.그건 고도가 오기를 우린 기다리고 있다는 거야.(P134)

 

 포조가 채찍을 들고 럭키의 목에 맨 끈으로 럭키를 몰고 오는 장면은 놀랍다.포조와 럭키는 그들이 기다리는 고도는 아니다.어떻게 보면 포조는 직장의 우두머리같고,권력의 꼭대기에 있는 자와 같기도 하고,우리가 얽매여있는 벗어날 수없는 신적인 존재로 보인다.거기에 비하면 짐꾼럭키는 백발이 다 되도록 직장에 목매단 인간들 같고,무거운 짐을 내려놓을 줄 모르고 항상 짐을 지고 사는 인간의 모습 같기도 하다.이런 럭키지만 그가 토하는 괘변같은 유식함에 나는 놀라기절할 뻔 했다.다음날 눈이 멀고 귀가 먼채 나타난 포조와 럭키의 운명처럼 어느 순간 한치 앞을 모르게 변해버릴 수 있는 것이 또한 인간의 앞날이다.

 

여자들은 무덤 위에 걸터앉아 아이를 낳는 거지.해가 잠깐 비추다간 곧 다시 밤이 오는 거요.(P150)

 

 인간은 저마다 지고 가는 십자가의 무게로 생을 멈추고 싶어지는 순간이 있다.그들은 인류전체의 목소리를 대변한다.늙은 두 방랑자는 고도를 기다리기때문에 생을 절대 멈추지 못 할 것이다.이 작품에서 말하는 고도는 인간의 삶 속에 내재된 보편적인 기다림,신,자유,빵,희망 중 어느 것이라도 될 수 있다.그들이 기다리는 것은 우리가 기다리는 것이고,그것은 내일은 오늘보다 더 나으리라는 희망 같은 것이 아닐까? 만약 고도가 당장 나타나면 이들은,우리는 어떻게 될까? 참 아이러니하게도 고도가 언제 올지 모르기때문에 우리는 무의미하게 느껴지는 삶을 지탱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