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야의 이리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7
헤르만 헤세 지음, 김누리 옮김 / 민음사 / 2002년 7월
평점 :
헤르만 헷세의 소설은 중학교때 많이 읽었다.<데미안>은 어려웠고,<싯다르타>는 그 내용이 아직도 생생하다.<골트문트와 나르치스 ><수레바퀴 아래서><크눌프><유리알 유희><지와 사랑>등 모두 사춘기때 읽었지만 20년이 흐른 지금은 내 기억에서 내용은 잊혀졌고,제목만 남아 있다.헤세의 작품은 대부분 사춘기때 많 이 접한다.그의 작품들이 질풍노도기에 잘 어울리는 것은, 주로 내면의 세계를 다루고 있기때문이다.
<황야의 이리>는 사춘기때 읽어보지 못 했던 작품이다.크리스티아네 취른트의 <책>에서 꼭 읽어야 할 서양 고전중 한 권인 컬트문학으로 소개되어 있어서 알게된 작품이다.헷세의 많은 작품중 이 작품은 가장 어렵게 느껴진다.차라리 너무 늦게 만나서 다행으로 느껴진다.어려우면서도 헷세의 천재적인 사유력에 감탄을 하게 되는 작품이기도 하다.
이 작품의 배경이 된 시기는 1927년으로 1차세계대전 이후다.그래서 자아 성찰과 냉철한 문명 비판을 담고 있다.1차세계대전으로 인류는 그 동안 인류를 지탱해 왔던 커다란 정신이 붕괴되고,인류문명은 커다란 위기에 처하게 된다.<황야의 이리>는 염세적 역사관,비극적 인생관,허무주의 문명 비판,이성보다 직관을 우위에 두는 태도 등 을 보이고 있다.
거친 느낌의 <황야의 이리>는 하리 할러라는 인물을 말한다.그는 50대의 지식인으로 자신을 <황야의 이리>라고 부른다.스토리는 편집자의 서문과 하리 할러의 수기로 나뉜다.<황야의 이리>는 고독의 대명사고 고통의 대명사다.염세적이며 그는 항상 자살 생각한다.그는 자아가 분열된 인물로 천개의 영혼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자살을 열망할 즈음 그는 창녀 헤르미네와 마리아,파블로를 만나 향락적인 삶을 접하게 된다.환각제를 먹고 마술극장에서 자아가 다양한 원형적 심리적 소인으로 분열되는 것을 체험한다.
이 작품은 정신분열,마약,그룹섹스,동성애,고급창부등 상당히 충격적인 소재를 담고 있다. 현실과 비현실,의식과 무의식의 대위법적 결합,화자의 퍼스펙티브의 노련한 전환,심미적 거리를 조성하는 메타 픽션적 서술등 다양한 현대소설적 기법이 실험되고 있다.특히 향락적인 삶을 사는 부분에서 헤르만 헷세 자신의 혼란스러웠던 삶의 한 부분을 담았다는 사실에 더욱 놀랐다.이 작품은 처음부터 끝까지 혼란스럽다.카오스적이란 표현보다 더 적당한 말을 찾기 어렵다.한마디로 보르헤스의 작품을 만났을 때 느꼈던 좌절감과 충격과 경이로움을 함께 느낄 수 있다.이 작품은 작품해설을 읽어보고 난 후에야 많은 부분을 이해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