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스 브로드 1
팻 콘로이 지음, 안진환 외 옮김 / 생각의나무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인간은 고통을 견디기에 너무 연약하다.그런데 고통이란 녀석은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끝없이 밀려오는 파도처럼 밀려왔다 사라지기를 반복한다.나는 그것을 신이 우리에게 미리 준비한 것이라고 받아들이는 입장이다.운명은 나비효과처럼 얽히고 설킨 그물망 속에 정교하게 우리를 묶어 놓고 있어서 우리가 맞이하는 시련들이 결코 운명일 수 없다는 것 또한 괘변같은 나의 생각이다.

  

 특히 그것이 가족의 문제일 때는 더욱  그렇다.살아가면서 우리는 누구나 자신이 견뎌내기에 버거운 문제에 부딪힐 때가 많다.하지만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도 가족이다. 

우리가 겪는 많은 시련들은 나와 너,더 넓게 우리가 있기에 생기는 문제들이다.그것 또한 우리 속에서 극복할 수밖에 없다.

  

 이 소설의 배경이 되는 시기는 1969년으로 내가 태어나기 딱 1년전의 이야기다.인종갈등 마약은 미국사회의 오래된 문제다.팻 콘로이는 레오의 가족간의 갈등,친구관계등과 함께 사회문제를 포함해서 가장 미국적인 문제들을 소설로 그려내고 있다.

  

 글의 배경이 되는 도시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 찰스턴이다.이곳의 토박이인 주인공 레오형 스티브의 자살 후 장면을 목격하고 그 충격으로 삶이 엉망이 되어버린다.조용한 귀족(킹) 가문인 레오 가족은 그 사건으로  예전과는 같을 수 없는 운명에 휩쓸린다.레오의 아버지는 과학선생님이고,어머니는 레오가 다니는 학교의 교장선생님이다.하지만 레오의 코카인 소지 혐의는 그를 학교에서 퇴학당하고 법정에 서게 만든다.엄마가 수녀였다는 사실 또한 레오에게 충격이다.

 

 그 시기 레오는 자신과 비슷한 어려움에 처한 친구들을 도와주면서 그들과 친해진다.고아 화이트헤드와 나일즈 화이트헤드.  알콜중독증엄마와 근친상간범아버지를 둔 옆집에 사는 쌍둥이 자매 시바포와 트레버.레오에게 마음을 열게 만든 흑인 제퍼슨 코치님의 아들 아이크 역시 인종갈등의 상처를 안고 있다.

 

 어린시절의 친구들이 어른이 되어서도 미국사회의 주류로 등장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가장 미국적인 문제인 마약과 이혼,인종갈등,에이즈,남북갈등,가정폭력,음주 등과 같은 문제를 안고 산다.어린시절에 운명처럼 얽힌 이들의 사랑과 우정은 어른이 된 후에도 아름답게 이어져 애증을 그려나가는 한편 서로에게 의지하기도 하며 어려움에 처했을 때 함께 헤쳐나간다.

 

 소설 속 주인공들의 삶이나 농담에서 우리 문화 그들의 문화는 참 많이 다르다는 것이 느껴진다.하지만  문화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많은 공감을 불러오는 상당히 잘 쓰인 글이다.재미와 감동을 모두 만족시켜준다.무엇보다 읽는 이가 어렵지 않게 쓰인 글이다.유머러스한 문장,문화적인 차이를 넘어서는 공감을 이끌어내는 흡인력등  완벽한 소설이라면 지나친 칭찬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