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거대한 기차 - '칭짱 철도 건설' 프로젝트에 가려진 통일 제국을 향한 중국의 야망
아브라함 루스트가르텐 지음, 한정은 옮김 / 에버리치홀딩스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중국인들에게 금단의 땅이었던 티벳에, 베이징에서 시닝,골무트,라사를 잇는 하늘길이라고 불리는 칭짱철도가 개통됐다.티벳이라고 하면 불교와 달라이라마 고원지대라는 이미지가 먼저 떠오른다.그래서 칭짱철도는 중국이 표현한 하늘길일 것이다.하지만 칭짱철도가 가져온 발전의 이면에는 티벳의 아픔이 숨겨져 있다.저자는 거대한 중국의 이면에 감추어진 실체를 파헤친다. 
 

 우리는 중국의 겉모습만 보았을 뿐  이면에 감추어진 사실에 대해 너무 모르고 있었다.일본인들이 중국인들에게 행했던 생체실험을 같은 동족인 티베트인들에게 행했다는 사실이 충격적이다.티벳은 중국과 한 동족이 아니라 그들의 식민지로 전락했다.문화와 언어가 상이할 뿐만아니라,중국이 티베트에 행한 것들은 도저히 그들이 동족이라고 볼 수 없는 것들이다.일제시대 때 일제가 우리나라를 탄압했던 방식 그대로 중국은 티벳의 문화와 정체성을 파괴하고 있다.티벳개발은 곧 닥쳐올 에너지 고갈에 대비한 석유나 천연자원을 겨냥한 것에 불과했다.또한 군사적 요새로 키우려는 듯 보인다. 독일이 유태인에게 한 것처럼 중국은 티벳인들에게 교묘한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

 "형언하기 어려운 고통,사지 절단,생체 해부..어린아이들은 강압에 의해 자신의 부모를 총으로 쏘아 죽였고..승려들은 비구니들과 공개적인 성행위를 강요받았다"(P89)

  승려들을 체포,고문,주민들에 대한 감시,세계의 기자나 언론인들에 대한 탄압등 티벳에는 사실상 자유가 보장되지 않은 상태다.저자는 여행객으로 가장하여 어렵게 티벳의 모습을 포착했다.책을 읽으면서도 그가 인터뷰한 현지인들이나 동료,가이드,외국인 등이 불이익을 받지 않았을까? 상당히 걱정됐다.

 

 중국은 1951년 티베트를 중국 영토로 접수하고 티베트의 국가적 존재를 부정했다.1980년대 부터는 티베트에서는 여러 차례 독립을 요구하는 시위가 있었지만 중국정부는 이를 철저히 탄압했다. 국제사회는 중국정부의 인권탄압에 대해 우려를 표시했고, 중국 정부는 이를 내정 간섭이라고 주장했다. 티베트를 둘러싼 주변국의 입장은 자국의 이익에 따라 달리 했다.

 

  한국의 기성세대는 주권을 잃은 티베트에 대해 동병상련의 감정을 느끼고 있다. 하지만 중국과의 관계 등을 고려한 국가 이익 앞에서 티베트에 대한 애틋한 감정은 무시되고 말았다.중국의 식민지로 변해버린 티벳의 현재모습은 강대국들의 이해관계와 국제단체의 무성의가 가져온 뼈아픈 결과다.티벳의 발전은 티벳을 위한 발전이 아니라 공산당의 정치,경제적 목표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현재 티벳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은 발전이 아닌,공사에 불과하다.언젠가는 허물어질 예정된 부실공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