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박현욱, 그가 보수적인 대한민국 사회에 사랑과 결혼,결혼이란 제도에 도전장을 내밀었다.이 소설에서는 기존의 결혼제도인 일부일처제(모노가미monogamy)에 대해 반기를 들고 있다.두사람 이상을 사랑하지만 파트너를 속하지 않는 다자간의 사랑을 의미하는 비독점적 다자 연애(폴리아모리polyamory)를 들고 나왔다.

 

  제도라는 것은 인간 사회를 유지시키기 위한 필요해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결혼이란 제도 역시 마찬가지다.하지만  제도가 모든 이에게 정의로울 수만은 없다.어떤 이에게 합리적인 제도가 어떤이에게는 불합리할 수밖에 없는 것이 제도의 한계다.인아는 일부일처제의 불합리함에 반기를 드는 여자다.덕훈은 일처다부제를 거부하는 남자다.인아와 재경이 추구하는 폴리아모리는 독점욕이나 질투심을 버리고 상대방을 존중할 수 있다면 누구나 가능하다는 것이다.폴리아모리는 인아와 재경이 추구하는 유토피아다.

 

 대한민국에서 축구를 광적으로 좋아할만한 여자가 과연 몇 명이나 될까?남자들이 술안주 삼아 노닥거릴만한 두가지 주제인 축구와 섹스.여자들이 가장 피하는 두 가지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다.나는 축구라면 한일전과 아시안게임,월드컵 행사때만 관심이 있다.축구에 관한 이야기를 이해하기에 지장이 없는 정도다.소설 초반부에서는 거부감이 느껴진다.하지만 읽다보니 남녀간의 사랑과 결혼에 대하여 그 모든 것을 축구와 연관시켜 이야기 할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하고 재미있다.

 

주인공 덕훈은 대한민국의 표준적인 사고를 하는 30대 기혼남이다.표준적이라는 것? 우리 문화권에서 요구하는 기준에 부합되는 행동을 하는 사람이라나 할까? 하지만 덕훈은 인아로 인하여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대한민국 제도권밖으로 밀려난다.인아는 덕훈에게 자신의 삶에서 일탈을 요구하는 파격적인 여자다. 덕훈은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바람기로 인해 어린시절의 트라우마를 간직하고 있는 남자다.덕훈의 갈등은 대한민국 보통남자가 기존의 틀을 깬다는 것이 얼마나 어렵고 힘든 일인지 알 수 있다.

 

 덕훈과 결혼한 인하가 재경과도 결혼을 감행할 때는 여자로써의 통쾌함과 덕훈에 대한 안쓰러움이 교차한다.왜? 몇 년전까지만 해도 남자에게는 일부다처제가 묵인되고 여자에게는 일처다부제가 허용이 안 됐으니까! 아무리 사랑이 좋아도 그렇지? 현실에서 어떤 여자가 두집 살림을 하겠는가! 대한미국에서 시댁이라는  곳은 무소불휘의 권력을 휘두르는 곳이 아니었던가!오죽하면 "시"자가 들어가는 시금치도 안 먹는다는 말이 있을까.대한민국에서 결혼을 유지하기 가장 어려운 문제 중의 하나가 시댁 갈등이다.무엇보다 현실에서 중혼은 이혼 사유다.

 

 어쨋든 내 일이 아닌, 소설 속의 이야기라는 점에서 계속 웃으면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하지만 이것이 내 이야기라면? 그 때는 상황이 360도 달라질 것이다.이 소설은 기혼과 미혼,남과녀 중 누가 읽느냐에 따라 그 평이 상이하게 나올 것 같다.기혼녀인 나는 이 소설을 참 재미있게 읽었다.한 세기가 지나면 대한민국에서도 폴리아모리를 묵인해 주는 곳이 한 곳쯤 생겨나게 될지도 모르겠다.제도란 시대 상황에 따라 변하는 것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