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경제학
김철환 지음 / 글을읽다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경제학 입문서로 보면된다.경제학이 어렵게 느껴지는 분들에게는 최고의 책이될 것이고,자신이 경제학을 잘 안다고 생각하는 분들에겐 너무 쉬운책이 될 것이다.어떤 책이든지 자신의 눈높이에 맞는 책이 가장 좋은 책이다.
 

 저자는 경제학을 다양한 시선으로 바라본다.결국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게 경제활동과 관련이 있으니 좋은 접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우리가 중요성을 전혀 느끼지 못하고 살아가는 공기조차도 기회비용이 존재하고,세상에 공짜점심은 없다는 경제학적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경제학초보에게 너무 경제학관련 이야기만 한다면 독자는 금방 질려버린다.그래서 저자는 국문학,역사,정치,문화등 다양한 이야기를 첨가해서 경제학을 실생활속에서 배울수 있게 해주고 있다.

 

 우리가 초등학교때부터 읽었던 셰익스피어의 희곡<베니스의 상인>의 샤일록이라는 고리대금 업자 이야기를 예로 들어 재화의 가치,수요와 공급,시장균형가격까지 다가간다.

 

 배추값이 오르면 배추김치대신 총각김치를 담는 우리 어머니들의 모습으로 쉽게 수요와 공급의 법칙을 설명한다.

 

 또한 수요와 공급의 법칙을 통해서 현재 우리나라 주택정책의 실패한 부분을 잘 짚어준다.

경제학의 잉여의 문제를 문학작품에서 잉여의 개념과 접목시켜 쉽게 설명하고 있다.

 

 책을 읽으면서 가장 마음아팠던 부분은, 풍년은 곧 농부에게 풍요를 가져다 주지 않는다는 점이다. 쌀농사가 풍작이 됐다고 해서 우리가 하루 세끼 먹던 밥을 네끼로 늘려 먹는 것도 아니고,오히려 농산물가격의 비탄력성으로 인해서 농부의 수입만 감소하기때문이다.한미FTA체결이 가져올 문제점이기도 하다.

 

 

 고부군수 조병갑의 물세가 촉발시킨 동학농민운동,선거때마다  세금 감면을 내세우는 정치인들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 아닌 「참을 수 없는 세금의 지독함」.하지만 조세의 부과로 시장이 균형을 이루기도 하고,<분배의 정의>를 실현할 수 있는 방편이 되기도 한다.

 

 연암 박지원선생의 일화로 본 독점의 문제는 오늘날 경영인들이 배워야할 덕목이다.오늘 아침 매일경제신문의 기고란에서 「죄수의 딜레마」를 인용한 글을 봤다.

 

 정보의 비대칭성,개살구(레몬),신호보내기 등은<경제학 패러독스>라는 책에서 수십페이지 분량에 걸쳐 어렵게 설명한 것과 비교하면 저자는 단 몇장으로 쉽게 설명해버린다.

 

 이 책을 읽으면서 단 한가지 아쉬운 점은 ,한가지 주제를 설명하기위해 예를 든 부제가 너무 길어져서 가끔 삼천포로 빠지는 듯한 느낌이 든다.그 점만빼면 나무랄데 없는 책이다.한 권을 읽으면서 다방면의 책을 읽는 기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