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촐라체
박범신 지음 / 푸른숲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네이버 블로그에서 네티즌들에 의해 먼저 인정을 받고 책으로 출간된 이례적인 작품이다.우리나라 출판 업계에 인터넷 문화의 대중화라는 시도로 새로운 지평을 열게된 작품이다.촐라체가 뭐야? 글씨야? 그 특이한 제목에 참 말이 많았던 기억이 있다.'촐라체(cholatse)는 히말라야 에베레스트 서남서 17킬로미터,남체 바자르 북동북 14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 6440미터 봉우리이다.
이야기의 주인공 나는 중등 국어 교사이며,작가이고 출가를 결심한 현우라는 아들이 있다.무엇보다 등반 중에 로프를 끊고 죽은 선배 김형주에 대한 기억에서 벗어나지 못한다.상민은 주인공이 교생 실습 나갔을 때 배정 받은 반의 반장 이었고,산이라는 매개체로 엮이게 된다.영교는 상민의 이복동생으로,빚쟁이이면서 아버지 후배인"나팔귀 아저씨'를 칼로 찌르고 도망중인 수배자이다.이들은 우연히 알게 되고 함께 촐라체를 오르게 된다.
촐라체를 오르는 동안 이들은 수많은 죽음의 순간들과 마주하게 되고,우리는 책을 통해서 수많은 죽음의 기록들과 만나게 된다.이들은 지상의 삶에서는 만나지 못할 수많은 인간 한계상황에 부딪히면서 헤쳐나간다.하지만 그것들은 그 형태만 다를뿐 우리가 살아가면서 경험하게 되는 인생과 똑같다는 느낌이 든다.우리는 상민과 영교의 가족안에서 쌓인 갈등을 들여다 본다.생사를 넘나드는 사투 속에서 상민과 영교가 서로의 사랑을 확인해 가는 과정을 지켜보는 나의 기분..질펀한 욕들 속에 숨어 있는 가족 간의 사랑이라는 이름.반목이 심한 가족간에 사랑이라는 느낌은 드러내기 쑥스러운 감정이기에..
책을 읽는 내내 히말라야의 빙벽을 같이 오르는것 같은 생생함,자신들이 죽어가는 모습을 볼 땐 너무 떨리고 슬프고 걱정스러워진다.자연이라는 웅장함,위대함,거기에 비하면 인간이라는 존재의 한없이 작고 초라함.그러나 인간의 삶에 대한 욕망은 웅장한 자연보다 더 위대하다. 이 책 속에서 우리는 절대적인 고독이 어떤 것인지 경험하게 된다.영하 20도의 혹한,그들은 왜 '촐라체'라는 빙벽을 오를까? 짜릿한 쾌감도 느낄 수 있었고,정상에 오르고 싶은 욕구도 있었으리라.하지만 그들은 각자 자신의 고통으로 부터 달아나기 위해 촐라체를 찾아 간것이 아닐까? 그들이 촐라체를 오르는 것은 아마도 그 실체를 드러내지 못할 그리움 때문이 아닐까? 사랑,꿈,희망...
이 소설은 주인공의 위치가 나,상민,영교로 자주 바뀌는 점이 특이하다.서두 부분은 낯선 등산용어에도 불구하고 잘 빠져든다.딱히 어떤시점이란 것이 정해지지 않은것 같다.소설을 읽을 때 공간이 한 곳에 머무르면 자칫 이야기에 재미가 없고 지루해지기 쉽상이다.그런데 이 책에서는 이야기의 배경이 공간 이동없이 '촐라체'라는 한 곳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진행되지만,전혀 지루함이 없다.소설 끝자락의 에필로그만이 다른 공간으로 이동된 글이다.놀라울 따름이다.글을 많이 써 본 작가의 연륜에 감탄하게 된다.
촐라체를 다 읽고 고개들어 바라보는 하늘색이 시리도록 푸르다.나는 오늘도 내 삶의 촐라체를 오르고 있다.완벽한 카타르시스에 눈물이 내 가슴을 적신다.내가 소설을 찾는 이유가 여기에 있고,소설을 읽는 즐거움을 맘껏 느껴본 책이다.오늘 하루는 내 삶의 희노애락이 촐라체라는 공간 속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 같다.내가 촐라체의 매력에 너무 깊이 빠져버린 까닭이다.